서울대병원 박상민 교수팀 5338명 조사 결과
남성은 비정규직·정규직 차이 거의 없어
고혈압·당뇨 검진비율, 남녀모두 비정규직이 낮아
남성은 비정규직·정규직 차이 거의 없어
고혈압·당뇨 검진비율, 남녀모두 비정규직이 낮아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가 정규직 여성보다 고혈압에 걸릴 위험이 1.4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가 고용 불안정 등 때문에 더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기 때문이라는 추정이 나온다.
12일 박상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살 이상 직장인 5338명을 정규직(남 2167명, 여 1326명), 비정규직(남 714명, 여 1131명)으로 나눠 심·뇌혈관질환과 관련된 건강행태, 위험요인, 건강검진 이용률 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비정규직 여성 가운데 고혈압에 걸린 비율은 정규직 여성보다 1.42배(4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같은 비정규직이라 하더라도 여성이 남성보다 직업의 불안정성에 따른 불안과 스트레스를 더 크게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비정규직 직장인은 정규직보다 건강 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시간적·심리적 여유가 없는데다가 식사 습관도 상대적으로 좋지 못해 고혈압 등과 같은 만성질환에 걸릴 위험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 건강검진 이용률은 남성이나 여성 모두 비정규직이 정규직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고혈압의 경우 비정규직 가운데 검진을 받은 비율은 정규직에 견줘 남성이 28%, 여성이 44% 낮았다. 당뇨에 대해서는 비정규직이 정규직보다 남성은 42%, 여성은 45% 낮았다. 연구팀은 “고혈압이나 당뇨와 같은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의 발견과 관리는 국가 공중보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비정규직의 검진 접근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 최신호에 실렸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