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대구 달서구 두류정수장에 전국 곳곳에서 지원 나온 구급차와 구급대원들이 환자 이송을 준비하고 있다. 소방청은 대구에서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구급차는 총95대로 늘어나 환자와 검체 이송을 더 빠르게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구/연합뉴스
코로나19 환자의 ‘입원 치료’ 원칙을 고수했던 정부가 1일 경증 환자의 시설 격리 치료 쪽으로 대응 방향을 바꾼 것은, 현재의 의료자원으로는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폭증하는 환자를 감당할 수가 없어서다. 지난 27일부터 이날까지, 대구에서 병상이 모자라 입원을 기다리던 확진자와 검사 결과를 기다리며 자가격리 중이던 환자가 숨지면서 중증 환자 중심으로 병상을 배정해야 한다는 의료계의 목소리가 높아져왔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의료자원이 한정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20%가량 되는) 중증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대응체계를 ‘피해 최소화 전략’으로 전환해 중증 환자는 집중 치료에, 경증 환자는 전파 차단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우선 환자의 맥박과 수축기 혈압, 호흡수, 체온, 의식수준의 5가지 항목을 각 0~3점으로 평가해 합산한 점수가 4점 이하면 경증, 5~6점은 중등도, 7점 이상은 중증·최중증으로 나누기로 했다. 65살 이상 노인이거나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장기이식 등 과거력이 있는 이는 고위험군으로 우선 분류한다. 이 가운데 4점 이하의 경증 환자는 공공시설 또는 숙박시설을 활용한 지역별 ‘생활치료센터’에 수용해 격리 치료와 모니터링을 받고, 그 이상의 환자는 음압격리병실 또는 감염병 전담병원 등에서 입원 치료를 받게 된다. 중증도 분류는 시·도별 환자관리반과 의료진이 맡는다.
생활치료센터나 병원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자택에서 병실 또는 시설 배정을 기다리며 보건소의 관리를 받는다. 보건소는 2차례 이상 전화 상담을 실시하게 된다. 지금까지보다 더 체계적이기는 하지만, 확진부터 환자 분류와 병실·시설 배정까지 시간이 걸려 그 전에 증상이 급격히 악화할 경우엔 위험한 일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남는다.
경증 환자를 전담하는 생활치료센터 내 환자들은 서울대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등에서 의료 관리를 맡게 되며, 의료진과 지원인력이 24시간 상주한다. 입원 중인 환자라도 임상적으로 증상이 좋아지면 병원에서는 퇴원하되, 전염력이 없어질 때까지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 치료를 받는다.
입소 뒤엔 1인 1실을 배정받아 상급 종합병원 의료진의 모니터링과 상담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증상 호전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감염자가 아닌 상태였던 우한 교민은 교차 감염 우려 때문에 방 안에서 엄격하게 격리했지만, (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받는 분들은) 감염된 분들이라 환자 간 접촉에 엄격하진 않을 것”이라며 “환자분들이 좀 더 편하게 생활하되, 바깥과의 접촉을 관리하는 데 신경쓰겠다”고 말했다.
병상이 가장 심각하게 부족한 대구에선 지난 28일부터 대구시의사회를 주축으로 환자 중증도 분류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생활치료센터로 활용하기로 합의가 끝난 곳은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으로, 상주 지원인력이 머물 공간을 제외하면 160~180실을 사용할 수 있다. 의료 관리는 경북대병원이 맡게 되며, 이르면 2일 저녁께 입소가 시작될 것으로 알려졌다. 박능후 1차장은 “다른 시설들도 운영권자와 협의 중”이라며 “가능한 한 빠른 시일 안에 (시설을) 확보하겠다. 최소한 1천실 이상은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더라도 ‘코로나19 진단검사 2차례에서 음성’을 받아야 한다는 격리해제 원칙은 달라지지 않는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