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전공의’ 페이스북 갈무리
공공의대 설립과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을 두고 대한의사협회·대한전공의협의회 등의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다른 의견’을 내는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눈길을 끈다. 지난 2일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다른 생각을 가진 의대생/전공의’라는 계정을 만들어 연속 기고글을 올리며 의사단체의 주장과 단체행동에 반대 목소리를 내는 이들이다.
이 계정의 운영진 가운데 한 사람인 의대생 ㄱ씨는 3일 <한겨레>와 한 서면 인터뷰에서 “병원은 국민의 생명, 안전과 직결된 필수공익 사업장이므로, 노동권 행사가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이 되어선 안 된다. 그런 점에서 의사단체의 진료거부에 동의할 수 없다. 의대생들의 국시 거부 역시, (합격 이후) 공중보건의가 배치되는 도서지역 의료부터 마비돼 사회적 약자에게 가장 큰 피해를 주므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한국이 지역별 의료격차와 공공의료 부족이 심한 나라이지만 정작 의료계에 몸담을 의학도들은 그 필요성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다며 공공의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2일 페이스북 페이지에 올라온 글에선 “공공병상 수 최하위권에 지역별 의료격차가 극심한 한국 의학도들이 공공의료의 정의도 모른다. 이들이 곧 공공의대가 필요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번 집단행동의 한 축인 조승현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회장이 “어떤 것이 공공의료이며 왜 공공의료가 부족하다고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한 것을 두고 한 얘기다. ㄱ씨는 “한국 의대생은 각자도생으로 입학한 민간대학에서, 민간 의료 공급업자인 교수들에게 수업을 듣는다. 교육환경 자체가 공공의료를 학습할 여건이 안 된다”고 짚었다.
이들은 의사단체들이 단체행동을 강제하는 분위기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ㄱ씨는 “국시 취소를 하지 않은 인원에 대해 부정적인 전공의 사회의 시선이 있다. 내년에 입사하는 인턴은 ‘국시 반역자’이기 때문에 불이익을 줘야 하지 않겠느냐는 이야기가 사석에서 오간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날 페이스북 페이지에 올라온 기고글에서는 “동맹휴학이 정치적으로 성공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나 예과생에게 피해가 발생하리라는 사실은 명백하다. 그럼에도 의사사회의 위계로 휴학 결정 과정에서 예과생들은 의견을 충분히 피력 못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다른 생각’을 하는 이들은 이제는 의료진이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할 때라고 입을 모은다. 한 전공의는 기고글에서 “이제 하루빨리 협상을 마무리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오겠다던 약속을 지킬 때다. 국민 건강이 위협받을 때의 단체행동은 당위를 상실한다”고 썼다. ㄱ씨는 “(집단휴진) 지도부는 어떠한 방식의 의사 증원도 반대하면서 대안을 제시하지 않는다. 정책에 의료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의사단체만 정책에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려 해서는 안 된다”며 “코로나19로 의료 공백의 위험성이 커지는 상황이라 정부가 적극적으로 저자세를 보이는 형국이지만, 의정협의체에서 협상을 하더라도 의료자원의 공공성 확보라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