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달 21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코로나19 치료제 백신개발 범정부지원단 5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전 국민의 60%인 3000만명 분량의 백신을 국외에서 우선 확보하기로 했다. 나머지 분량은 앞으로 국내외 코로나19 백신 수급과 개발 상황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보할 방침이다.
정부는 15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코로나19 백신 도입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정부는 “최소 국민 70%에게 접종할 수 있는 백신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그중 60% 이상을 선구매로 확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과 영국, 유럽 ‘백신동맹’ 4개국(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등이 글로벌 제약회사들과 앞다퉈 백신 공급 계약을 맺는 등 전 세계가 ‘백신 확보전’에 나선 만큼, 한국 정부도 최소한의 물량이라도 확보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세계 백신 공동구매·배분 메커니즘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에서 1000만명분을, 개별 기업과의 협상에서 2000만명분을 각각 들여올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달 31일 코백스 퍼실리티에 참여 의향확인서를 제출했고, 선구매 계약비용(1회 접종량에 3.5달러) 1723억원을 질병관리청(질병청)이 집행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보해 두었다.
정부는 또, 나머지 2000만명분 백신을 확보하려고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화이자, 존슨앤존슨, 모더나 등과 개별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임인택 국장은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명확히 검토해 가격 경쟁력 있고 안전한 플랫폼을 갖춘 백신을 선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신 예방접종 대상과 가격 등 예방접종 시행 계획은 질병청에 소속된 예방접종전문위원회 검토를 통해 이르면 10월까지 질병청에서 세울 계획이다.
한편, 방역당국은 야당에서 공세를 멈추지 않는 ‘전국민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과 관련해 “필요성이 낮고,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다”고 거듭 설명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독감 유행은 대개 (국민의) 50% 예방접종으로 통제하는데, 우리는 57% 이상에 해당하는 물량이 확보돼 있다. 어느 나라보다도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또 “독감은 타미플루와 항바이러스제가 있어 고위험군이 아니면 (이것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이런 항바이러스제를 1100만명분 이상 비축하고 있다. 게다가 백신을 생산하려면 5~6개월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