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 48년차 컨테이너 기사 강씨
“안전운임제 약속, 정부가 판 뒤집었다”
“안전운임제 약속, 정부가 판 뒤집었다”
24일 오전 경기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 앞에서 열린 화물연대 서울경기지부 총파업 출정식에서 노조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일을 안 하는걸 감수하고 지금 참여하는거잖아요. 저번에도 3년 했다가, 또 6개월 한시적으로 했다가 이러잖아요. ‘아예 제도로 이번엔 제대로 그냥 해야겠다’라고, 사람들이 다 그렇게 생각해요. 여기(의왕)에서 포천이나 고양까지 80km,100km돼요. 거기서 짐 싣고 부산 내려가는데 보통400km에서 450km예요. 그럼 부산에서 다시 또 오는 걸 따지면, 하루 평균 그냥 1000km 정도 가야 되니까. 사람이 하루 정도 이렇게 하고 나면 그 다음에 힘들잖아요. 예전엔 먹고 살려고 또 내려가는 거지, 무리해서 다음 날 바로 또 내려가고…. 그렇게 하다 보면, 가다 보면 졸리고 꺽꺽거리고, 머리가 핑핑 돌고 이렇게 되죠.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품목확대 요구를 내건 파업은 지난 6월에 이어 두번째다. 화물연대가 한 해 두 번 파업한 것은 출범 이듬해인 2003년을 제외하고는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6월 파업 당시 화물연대는 국토교통부로부터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과 품목확대 논의’ 약속을 받아낸 뒤 8일 만에 파업을 종료했다. 국토부와 여당이 지난 22일 일방적으로 품목확대 불가·일몰제 3년 연장안을 제시한 상황이어서, 화물연대는 “끝까지 싸울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지난 6월 파업처럼 산업계에 미치는 파급력이 클지는 미지수다. 화물기사에겐 수백만원에 달하는 차량할부대금과 운수사에 내는 지입료 등 고정지출이 상당하다. 운전대를 놓으면 바로 생계에 지장을 받을 수 밖에 없어, 조합원들에게 파업은 큰 부담일 수밖에 없다. 또 지난 6월엔 유가가 급등하던 시기여서 파업에 동참하는 비조합원이 많았지만, 유가가 상대적으로 안정된 현재 상황은 그렇지 못하다. 화물연대는 물류거점에서 유인물을 나눠주며 비조합원에게 파업 동참을 호소했다. 파업 첫날도 정부와 화물연대는 날선 공방을 주고 받으며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국토부는 이날 “안전운임 티에프를 구성해 구체적인 논의를 제안했으나 화물연대가 논의를 거부했다. 안전운임제에 관해 화물연대와 35번 회의를 했다”며 파업을 비판했다. 이에 화물연대는 브리핑을 통해 “6월 총파업 이후 국토부와 화물연대의 교섭은 9월30일, 11월15일 두차례에 불과했고, 이마저도 국토부가 품목확대는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통보하는 자리에 그쳤다”며 “6월 총파업 이후 합의사항에 관한 티에프를 제안한 적도 없다”고 반박했다. 어명소 국토부 2차관은 이날 예고없이 화물연대 집행부가 있는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를 찾았으나 화물연대는 “정식으로 대화를 요청하라”며 돌려보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장현은 기자 mix@hani.co.kr
관련기사
이슈화물연대 파업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