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기업이 노동자 1명을 고용하기 위해 임금과 사회보험료 등을 모두 합쳐 월평균 601만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용은 300인 이상 기업에서는 전년에 견줘 6.7%나 증가한 반면, 300인 미만 기업에선 0.7% 늘어난 데 그쳐 기업 규모별 임금 등의 양극화를 뚜렷하게 드러냈다.
고용노동부가 21일 발표한 ‘2022 회계연도 기업체노동비용조사 결과’를 보면, 상용직(계약 기간 1년 이상) 10인 이상 기업체 약 3600곳이 노동자 1명을 고용하기 위해 부담한 노동비용은 월평균 601만5600원이었다. 한해 전인 2021년(585만원)보다 약 16만6천원(2.8%) 늘어난 수준이다. 노동비용이란 기업이 상용직 노동자를 고용하며 실제 쓴 금액으로, 임금 총액인 ‘직접 노동비용’과 사회보험료·퇴직금 등 ‘간접 노동비용’으로 구성된다. 직접 노동비용은 지난해 월평균 476만원으로 전년보다 3.0% 증가했다. 간접 노동비용은 월평균 125만2천원으로 1년 전보다 2.3% 올랐다.
특히 기업 규모에 따른 노동비용 격차가 더 벌어졌다. 300인 이상 기업체의 지난해 월평균 노동비용이 760만8천원으로 한해 전(712만9천원)보다 6.7% 증가한 반면, 300인 미만 기업체들의 노동비용(480만3천원)은 같은 기간 0.7% 상승에 그친 것이다. 특히 1천인 이상 기업의 월평균 노동비용은 842만8천원으로 전년(779만4천원)에 견줘 8.1%나 올랐다. 작은 기업일수록 임금 상승 등이 정체되고, 이들에 더 많은 노동자가 쏠린 결과로 볼 수 있다.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 쪽은 “300인 미만 사업체 가운데서도 노동비용이 낮은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등의 회복으로 해당 업종 노동자가 늘어나면서 노동비용 상승률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은 “10인 미만 사업체보다는 사정이 나은 상용직 10인 이상 사업체 안에서도 기업 규모에 따른 격차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는 의미”라며 “중소기업은 겨우 현상 유지만 하고, 대기업은 기본급 인상에 더해 성과급 인상 등으로 임금 격차를 더 벌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업체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가 향후 더 커지리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흥준 서울과학기술대 교수(경영학)는 “노동시장 이중 격차의 주요 원인이 기업 규모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원하청 관계에서 단가 후려치기 문제나 무노조 사업장 등 임금격차로 이어지는 소규모 사업장의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조돈문 가톨릭대 명예교수(사회학)는 “최저임금 인상률이 낮고 경기도 크게 나아질 전망이 없어, 격차는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장현은 기자
mi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