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최저임금도 꿈인가

등록 2011-03-14 21:00

연령별 경비 및 청소관련직 종사자수 / 성별 노동조합 가입 비율 / 학력별 경비 및 청소관련직 종사자수 / 연령별 청소 노동자 시급 /
연령별 경비 및 청소관련직 종사자수 / 성별 노동조합 가입 비율 / 학력별 경비 및 청소관련직 종사자수 / 연령별 청소 노동자 시급 /
건물주는 ‘최저 낙찰제’ 용역업체는 ‘인건비 착취’
고령·저학력자 대부분…60대 이상 시급 3600원
청소노동자의 저임금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청소노동자들 대부분을 용역·파견 등 간접고용으로 전환하면서 시작됐다. 게다가 용역업체가 난립해 ‘덤핑계약’이 이뤄졌고, 피해는 고스란히 청소노동자들에게 전가됐다.

2009년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한 ‘산업별·직업별 고용구조조사(OES)’ 자료를 보면, 경비 및 청소관련직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94만9000원으로 24개 중분류 직업군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취업자 월평균 소득인 203만7000원의 절반도 안 된다. 게다가 여성의 월평균 임금은 73만4000원으로 남성의 63%(116만4000원) 수준이다. 이 직군 여성노동자 가운데 74.7%가 50대 이상이다. 결국 고령의 비정규직 여성들이 저임금과 열악한 근로조건에 가장 많이 노출돼 있는 셈이다.

경비 및 청소노동자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60대의 경우, 최저임금에 한참 못 미치는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은 한 주에 46시간(한달 197.14시간)을 일하지만 월소득은 71만원으로, 시급이 3601원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청소업무가 외주로 바뀐 뒤 건물주들이 ‘최저낙찰제’를 도입하면서 상황이 더욱 나빠졌다고 말한다. 매년 1000여개의 청소용역업체가 생겨나며 경쟁이 치열해졌고, 업체들은 가장 손쉽게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인건비를 크게 깎았다. 고령의 청소노동자들은 사업장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기도 쉽지 않다. 경비 및 청소관련직의 58.5%가 중졸 이하의 학력인 점도 이런 사정과 맞물려 있다.

2006년 국가인권위원회가 조사한 인권상황실태 자료를 보면, 청소노동자 가운데 돈벌이를 하는 가구원수가 자신뿐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49.7%, 이 가운데 70.9%가 배우자와 함께 살며 가족의 살림을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듬해 국가인권위가 “포괄임금제를 남용하는 사업주에 대한 근로감독을 강화하고, 외주화 문제를 막기 위해 준공영화 도입과 최저낙찰제를 재검토해달라”고 권고했지만, 당시 기획재정부 등은 “청소용역노동자들의 고용에 오히려 불리하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속보] 윤석열 쪽 증인 국정원 3차장 “선관위, 서버 점검 불응 안했다” 1.

[속보] 윤석열 쪽 증인 국정원 3차장 “선관위, 서버 점검 불응 안했다”

윤석열 아전인수…“재판관님도 그렇게 생각할 것 같은데요” 2.

윤석열 아전인수…“재판관님도 그렇게 생각할 것 같은데요”

공룡 물총 강도에 “계몽강도” “2분짜리 강도가 어디 있나” 3.

공룡 물총 강도에 “계몽강도” “2분짜리 강도가 어디 있나”

“우울증은 죄가 없다”…초등생 살해 교사, 죄는 죄인에게 있다 4.

“우울증은 죄가 없다”…초등생 살해 교사, 죄는 죄인에게 있다

윤석열 “계엄 때 군인들이 오히려 시민에 폭행 당해” 5.

윤석열 “계엄 때 군인들이 오히려 시민에 폭행 당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