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미디어

“생전 처음 만난 ‘한국 사람’ 반겨준 고려인 할머니 잊지 못해요”

등록 2021-08-26 22:32수정 2021-08-27 18:40

[기억합니다] 우크라이나 강이리나님 기리는 글
마땅한 사진이 없어 필자가 화가에게 주문해 그린 초상화로 대신한 우크라이나 고려인 강이리나 할머니의 영정. 김형효 주주통신원 제공
마땅한 사진이 없어 필자가 화가에게 주문해 그린 초상화로 대신한 우크라이나 고려인 강이리나 할머니의 영정. 김형효 주주통신원 제공
거기 여전히 버리지 못한 조국 , 버리지 못한 민족이 있다. 지난 2009년부터 2년 가까이 머물렀던 우크라이나의 고려인 동포들을 떠올릴 때마다 안타까운 기억들이 있다 . 어머니 아버지의 나라, 한반도에서 8천Km나 떨어진 머나먼 땅에서 태어나 68년 평생을 살다가 묻힌 강이리나 할머니와 짦은 인연은 그중에도 가장 애절하다 .

그해 3월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해외봉사단원으로 우크라이나로 파견된 나는 초기 6개월간 니콜라예브와 연수과정을 마친 뒤 크림자치공화국의 작은 도시인 에파토리아에 도착했다. 크림반 도의 2500 년이 넘은 고대도시 에파토리아에서 고려인 한글학교 교사를 맡은 나는 현지 고려인들에겐 최초의 한국어 선생이자 거의 처음으로 본 한국 사람이었다 .

필자(맨 오른쪽)는 2009년 강이리나 할머니의 손녀 사비나(왼쪽 둘째)를 비롯한 에파토리아 한글학교 고려인 학생들에게 한복을 선물했다. 김형효 주주통신원 제공
필자(맨 오른쪽)는 2009년 강이리나 할머니의 손녀 사비나(왼쪽 둘째)를 비롯한 에파토리아 한글학교 고려인 학생들에게 한복을 선물했다. 김형효 주주통신원 제공
한글학교는 주말에 열고 평일엔 내내 휴가처럼 현지인들을 만나러 다닐 수 있었다. 강이리나 할머니는 그해 10월20일 고려인협회 회장님과 함께 나를 집으로 초대해주었다. 강 할머니는 처음 만난 맛난 음식을 대접하며 제게 서툰 우리말로 한글을 배우고 싶다고 했다. 혼혈인 손녀 사비나가 한국말을 배우고 노래를 곧잘 하는 것을 보고 기뻐하기도 했다.

그 며칠 뒤 열린 ‘2009년 고려인 문화축제’에서 사비나는 춤을 춰서 상까지 받았다. 하지만 모두가 무대에 올라 마지막 인사를 했는데 사비나와 또 다른 한 아이는 다른 출연자의 한복을 빌려 입었던 까닭에 커튼콜에 나가지 못했다. 애써 모른 척 한 뒤 수업시간에 노트북을 가지고 가서 그날 찍은 사진들을 보여주었더니 너무나 좋아했다. 그 모습이 더 안타까워 불혹 넘은 사내의 눈시울이 붉어진 순간이었다.

강이리나 할머니의 관포에 ‘학생간이린나’란 신위가 적혀 있다. 러시아어에서 ㅇ발음이 어려운 탓에 ㄴ으로 표기할 때가 많다. 김형효 주주통신원 제공
강이리나 할머니의 관포에 ‘학생간이린나’란 신위가 적혀 있다. 러시아어에서 ㅇ발음이 어려운 탓에 ㄴ으로 표기할 때가 많다. 김형효 주주통신원 제공

2009년 11월 에파토리아시의 고려인 청년들이 고 강이리나 할머니의 장례식에서 운구를 하고 있다. 김형효 주주통신원
2009년 11월 에파토리아시의 고려인 청년들이 고 강이리나 할머니의 장례식에서 운구를 하고 있다. 김형효 주주통신원
그런데 11월7일 강 할머니가 갑작스럽게 돌아가셨다는 소식과 함께 와달라는 요청이 왔다. 이튿날 집으로 달려가보니 장례절차를 물었다. 만난 지 불과 보름 만이었고, 두번째 만남이 장례식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1937 ~38 년 스탈린 치하에서 중앙아시아 여러 공화국으로 강제이주된 고려인의 후손들이어서,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에 사는 동생들이 도착할 때까지 한참을 기디린 뒤에야 장례를 치를 수 있었다 .

어쩌면 사람의 인연이 이렇게 안타까울 수가 있는 것일까, 참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이었다 . 정신을 차리고 영정을 준비하려는데 사진이 없었다 . 가족사진 중에서 할머니 모습만 카메라에 담아 다음 날 근교에 사는 화가를 수소문해서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덕분에 영정 속 강할머니는 젊은 날 아름다운 모습이었다.

강이리나 할머니의 손녀인 사비나와 동생. 필자는 할머니에게는 ‘하늘’, 사비나에게는 ‘하늘꽃’이란 한글 이름을 지어주었다. 김형효 주주통신원 제공
강이리나 할머니의 손녀인 사비나와 동생. 필자는 할머니에게는 ‘하늘’, 사비나에게는 ‘하늘꽃’이란 한글 이름을 지어주었다. 김형효 주주통신원 제공
나는 만나는 고려인들에게 두루두루 한국식 이름을 지어주기도 했다 . 특히 한글학교 학생들에게는 모두 이름을 지어주었다 . 할머니가 돌아가신 뒤에도 반갑게 웃는 얼굴로 나를 맞아주는 사비나에게는 한국이름 ‘하늘꽃’을 주고, 할머니는 더 좋은 아름다운 새로운 세상으로 가셨다고 위로해주었다 . 그래서 강 할머니의 이름을 ‘강하늘’로 지어드렸다 . 강처럼, 하늘처럼 주유하면서 생전 한번도 가보지 못한 고국 산천도 둘러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

멀고 먼 중앙아시아에는 지금도 우리와 영혼의 교감을 나누며 살아야할 우리 동포가 있다 . 오늘 강하늘 할머니를 기리며 다시금 내 동포의 역사를 품을 수 있기를 소망해본다 . 지난 8·15 광복절 때 모셔온 홍범도 장군에 이어 ‘동포의 귀환’ 을 맞이할 채비를 서둘러야 하겠다 . 그것이 하루속히 통일된 조국을 이루는 길이기도 하다 .

대전/김형효 주주통신원 제공

원고를 기다립니다 <한겨레>가 어언 33살 청년기를 맞았습니다. 1988년 5월15일 창간에 힘과 뜻을 모아주었던 주주와 독자들도 세월만큼 나이를 먹었습니다. 새로 맺는 인연보다 떠나보내는 이들이 늘어나는 시절입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탓에 이별의 의식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억합니다’는 떠나는 이들에게 직접 전하지 못한 마지막 인사이자 소중한 추억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물론 가족, 친척, 지인, 이웃 누구에게나 추모의 글을 띄울 수 있습니다. 사진과 함께 전자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한겨레 주주통신원(mkyoung60@hanmail.net 또는 cshim777@gmail.com), 인물팀(People@hani.co.kr).
원고를 기다립니다 <한겨레>가 어언 33살 청년기를 맞았습니다. 1988년 5월15일 창간에 힘과 뜻을 모아주었던 주주와 독자들도 세월만큼 나이를 먹었습니다. 새로 맺는 인연보다 떠나보내는 이들이 늘어나는 시절입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탓에 이별의 의식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억합니다’는 떠나는 이들에게 직접 전하지 못한 마지막 인사이자 소중한 추억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물론 가족, 친척, 지인, 이웃 누구에게나 추모의 글을 띄울 수 있습니다. 사진과 함께 전자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한겨레 주주통신원(mkyoung60@hanmail.net 또는 cshim777@gmail.com), 인물팀(Peop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 재판 최대 쟁점은 ‘그날의 지시’…수사 적법성도 다툴 듯 1.

윤석열 재판 최대 쟁점은 ‘그날의 지시’…수사 적법성도 다툴 듯

전도사 “빨갱이 잡으러 법원 침투”…‘전광훈 영향’ 광폭 수사 2.

전도사 “빨갱이 잡으러 법원 침투”…‘전광훈 영향’ 광폭 수사

명절로 자리잡은 지 40년 안 된 ‘설날’…일제·독재에 맞선 수난 역사 3.

명절로 자리잡은 지 40년 안 된 ‘설날’…일제·독재에 맞선 수난 역사

내란의 밤, 불 난 120·112…시민들 “전기 끊나” “피난 가야 하나” 4.

내란의 밤, 불 난 120·112…시민들 “전기 끊나” “피난 가야 하나”

“탄핵 어묵 먹고 가세요” 무너진 법치, 밥심으로 일으킨다 5.

“탄핵 어묵 먹고 가세요” 무너진 법치, 밥심으로 일으킨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