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합니다] 광복 77돌 강제동원 희생자 기리는 글
기억의 봄 회원들은 2018년부터 강제동원 희생자들이 일제 때 살았던 집터를 찾아내 ‘평화 디딤돌’ 표지석을 놓았다. 기억의 봄 제공
귀국 못한 징용노동자 집터 찾아 추모
2019년 일제 징용 현장 군함도 답사
일본 ‘왜곡 설명’ 분노…추모식도 막아
“절대 잊지 않고 다시 가겠다 다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 우리 주변에서 흔히 그리고 널리 쓰이는 말이다. 어쩌면 현재도 잊혀져갈지 모른다. 어지러운 세상. 우리는 어디서 지혜를 찾아야 할까. ‘어디에도 실리지 않은 기억의 파편이 있다.’ 2018년 봄 강제동원에 대하여 학습하고자 모인 청년들은 한 가지 의문점에 도달한다. 왜 우리는 강자의 기록, 강자의 언어, 강자의 시선에서 역사를 배우는 것일까? 이후 이들은 소수자의 관점에서 잊힌 이들을 찾기 시작했다. 특별한 사람도 위대하지만, 그 뒤에는 항상 ‘보통사람’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교과서에서 배운 강자의 기록이 아닌, 개인의 기억에 도달하게 된다. ‘피해자가 없는 사건은 실종된다.’ 도시 혹은 마을재생 사업에서는 ‘가옥 개선’, ‘벽화 그리기’, ‘특산물 홍보’ 등 화려하고 긍정적인 것들을 내세우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마을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극복하여 역사의식을 고취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렇게 청년들은 작은 돌을 땅에 놓기 시작했다. 광복 77돌을 맞이한 지금 강제동원, 강제징용, 강제노동, 위안부 피해를 당하신 분들은 고령화로 몇 분 남아계시지 않는다. “피해자가 없는 사건은 실종된다”는 말을 계기로 삼아 청년들은 자신들을 ‘기억의 봄’이라고 불렀다. 희생자 분들의 기억에, 그리고 그 가치를 가슴에 품고 이 땅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봄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은 것이다. 그렇게 기억의 봄은 한 발 한 발 차근히 기억을 이 땅 위에 놓기 시작했다. 그것이 바로 ‘평화 디딤돌’이다. ‘이 동네 사람’, 이 추모비에는 ‘이 동네 사람’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강제동원 희생자 분들은 특수한 역사적 사례가 아닌, 우리 마을 주민이자 이웃 그리고 자신이 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마을 어르신들과 아이들이 모여 함께 디딤돌을 설치하고, 이 마을에서 자행되었던 일을 설명했다. 그렇게 우리는 하나의 역사 아래 또 다시 하나가 되었다. 그렇게 한 발 한 발 나아가게 되었다.
일본 군함도 강제노동 희생자 길영산씨가 살았던 서울의 집터에 놓은 평화 디딤돌 표지석. ‘일제 강점기 이 동네 사람’이라고 적어 놓았다. 기억의 봄 제공
기억의 봄 회원들이 하시마섬 현지에서 강제동원 희생자 추모제를 올리지 못한 채 배를 타고 나와 항구에서 추모문을 읽으려다 끝내 고개를 숙이고 있다.(오른쪽 사진) 기억의 봄 제공
원고료를 드립니다 -<한겨레>가 어언 35살 청년기를 맞았습니다. 1988년 5월15일 창간에 힘과 뜻을 모아주었던 주주와 독자들도 세월만큼 나이를 먹었습니다. 새로 맺는 인연보다 떠나보내는 이들이 늘어나는 시절입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탓에 이별의 의식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억합니다’는 떠나는 이들에게 직접 전하지 못한 마지막 인사이자 소중한 추억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물론 가족, 친척, 지인, 이웃 누구에게나 추모의 글을 띄울 수 있습니다. 사진과 함께 전자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한겨레 주주통신원(mkyoung60@hanmail.net), 인물팀(Peop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