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 시행 움직임에 대해 일선 부처 출입기자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 출입기자들은 24일 성명을 내어 “교육부는 국민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인 교육 문제를 다루는 중앙부처”라며 “정부 조처가 시행되면 기자들은 교육부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없게 되고 공무원과의 접촉도 어렵게 되는 만큼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정경제부 출입기자들도 성명을 내어 “정부 방안이 애초 다짐대로 브리핑 제도의 내실화나 정보 공개에 대한 로드맵은 제시하지 못한 채, 오히려 취재 환경만 후퇴시키고 언론에 받아쓰기만을 강요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헌법이 보장한 언론의 자유와 취재권을 구속하는 어떤 행위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전 취재신청 지침’ 철회 △브리핑 내실화 방안 제시 등 5개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해양수산부 출입기자들도 성명을 내어 “‘바다행정’이라는 특수한 성격으로 정책자금 등의 횡령과 전용은 물론 수산물의 위생문제 은폐 등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며 정부 방안의 철회를 주장했다.
한편, 외교통상부에선 기사송고실 이전과 관련해 출입기자단과 정부 간 협의가 계속되고 있다. 기자 대표단은 23일 ‘현 수준의 취재접근권’ 보장 관련 구체적 요구사항을 외교부에 문서로 전달했고, 외교부도 같은날 밤 정부의 견해를 반영한 수정안 문서를 기자 대표단에 전달했다. 두 문서는 큰틀에선 비슷하지만 취재접근권 보장 주체를 외교부로 하느냐 국정홍보처로 하느냐 등 일부 세부조항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기자단은 27일 전체회의를 열어 수정안 수용 여부를 논의하기로 했다.
이수범 최우성 기자 kjls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