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자유 제한요인으로 정치권력을 1순위로 꼽은 기자 비율
기자들은 언론 자유를 옥죄는 1순위 요인으로 정부나 정치권력을 가장 많이 꼽았다.
한국언론재단이 지난 4월16일~5월20일 언론인 1040명(오프라인 970명, 온라인 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8일 공개한 분석자료를 보면, 오프라인 매체 기자의 31.1%가 정부나 정치권력을 언론 자유를 제한하는 1순위 요인으로 꼽았다. 설문은 조사 대상자들에게 제한 요인으로 3순위까지 꼽도록 했다.
정치권력에 이어 광고주(20.4%), 편집·보도국 간부(14.7%), 사주·사장(11.3%) 등이 1순위로 꼽혔다. 2년 전 같은 조사에서 정치권력은 14.7%로, 광고주(23.3%), 사주·사장(15.7%), 자기검열(15.2%), 편집·보도국 간부(15.1%)에 이어 5번째였다. 2년 새 정치권력이 5위에서 1위로 올라선 것이다. 정치권력을 언론 자유를 제한하는 1순위 요인으로 꼽은 답은 2005년 20.1%, 2007년 14.7%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였다. 이번 조사에서 1·2·3순위 응답을 합치면, 1위는 광고주(60.8%)였고 그다음을 정치권력(56.7%)이 뒤따랐다.
기사 선택과 작성의 자유도도 2007년 3.37(5점 기준, 오프라인 기자)이었으나 이번 조사에선 3.06으로 떨어졌다. 보도 공정성에 대한 평가 역시 2년 전 3.06에서 2.62로 추락했다. 언론인 의식 조사는 1989년부터 2년 주기로 실시하며,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3%포인트다. 권귀순 기자 gskw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