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인 김미화
‘순악질 뉘우스’ 등록신청
“여성·청소년 멘토 되고파”
“여성·청소년 멘토 되고파”
방송인 김미화(사진)씨가 인터넷신문사 <순악질 뉘우스>를 차린다.
김씨는 1일 <한겨레>와 전화 인터뷰에서 “온라인 신문 ‘순악질 뉘우스’를 창간하기 위해 31일 내 주소가 있는 경기도청에 등록신청을 마쳤다”며 “등록증이 나오면 주로 여성과 청소년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신문을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인터넷 뉴스서비스 사업자는 주소지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관련 신청서를 내야 한다. 신문사 이름은 김씨가 예전에 큰 인기를 끌었던 코미디 프로그램 캐릭터 ‘순악질 여사’에서 따온 것이다.
김씨는 “주변에 순악질 뉘우스를 중심으로 마음을 모을 수 있는 사람이 많이 있어서 인터넷 신문사를 운영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씨가 인터넷 신문사 운영을 결심하며 참고한 ‘역할 모델’ 가운데 하나는 미국의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다. 티브이 방송 프로그램 <오프라 윈프리쇼>의 진행자로 유명해진 윈프리는 잡지 <더 오프라 매거진>과 영화 제작사 ‘하포 프로덕션’의 대표를 맡기도 했다. 형식은 다르지만 모두 여성을 위한, 여성에 의한,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다는 공통점이 있다.
김씨 역시 순악질 뉘우스의 타깃 독자층이 여성과 청소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주로 트위터 활동이나 외부 강연을 통해, 가까운 가족에게 하듯 자신의 고민과 어려운 이야기를 털어놓고 싶은 여성과 청소년, 혹은 소외된 이들이 참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짧은 트위터나 오프라인 강연 현장에서는 그들을 일일이 찾아다닐 수가 없는 만큼 순악질 뉘우스를 통해 내 주변의 좋은 사람들과 함께 그들의 멘토가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씨가 순악질 뉘우스를 창간하는 목적 가운데 하나는 ‘신문 바로보기’다. 그는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을 진행하다보니 우리 사회의 주요 이슈에 대한 내 나름의 ‘읽는 눈’이 생겼다”며 “하나의 이슈에 대해서도 저마다 다른 기사와 사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건지 순악질 뉘우스를 통해 독자들이 올바른 시각을 가질 수 있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