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퇴진, 철저한 수사 등 요구
언론 본연의 사명 수행위해 제도정비를
언론 본연의 사명 수행위해 제도정비를
대통령 비선실세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국내 언론학자 400여명의 시국선언에 이어 북미지역의 한인 언론학자 150여명도 민주적 감시 기능이 망가진 현실을 개탄하며 한국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전 세계에 고발함으로써 한국에 정의를 실현하는 데 동참하겠다는 선언문을 20일 발표했다.
북미지역 한인 언론학자들의 시국선언문은 40여년의 역사를 지닌 재미언론학회(KACA·회장 나승안 켄터키대 교수)가 주축이 되어 미국 36개주와 캐나다에 있는 83개 학교 및 연구소에서 언론 및 제반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학자 151명이 서명에 참여했다. 이들은 시국의 엄중함에 대해 현정권의 퇴진을 포함해 언론들이 본연의 사명감과 책임의식을 복원하기를 바라는 간절함을 담아 북미지역에서 사상 최초로 뜻을 모아 성명서를 냈다고 밝혔다.
재미 언론학자들은 성명서에서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위임받은 권력을 측근 소수와 공유하며 전횡을 일삼아 온 사실, 이것이 ‘민주국가’라고 믿어왔던 조국의 암담한 모습입니다”라며 대한민국을 바라보는 참담함을 드러냈다.
이들은 또 이런 권력을 감시, 견제해야 할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다수의 언론들이 박근혜 정부의 공모자들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현재 많은 언론 매체가 ‘비선실세’ 의혹을 파헤치고 있지만, 모든 언론이 제대로 된 비판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보수언론들은 얼마 전까지도 현 정부를 무비판적으로 칭찬하고 허물을 덮어주기 급급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이들이 현 정부의 유효기간이 끝나가자, 자신들에게 이익이 될 새 권력을 창출하기 위한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국가 지도자가 될 사람을 검증하고 비판해야 하는 언론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수의 한국 언론은 박근혜 정부의 공모자들입니다”
이들은 수백만개의 촛불을 든채 대통령 하야를 요구하는 국민들에 대해 정부와 일부 언론이 ‘국정 공백’이나 ‘사회 혼란’이라는 말로 여론을 호도하려고 한다며 “무자격자에게 나라를 맡기는 것만큼 혼란스럽고 위험한 일은 없습니다.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지 못하는 것이 ‘나쁜 선례’를 남긴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반헌법적 범죄를 저지른 대통령이 임기를 채우게 내버려두는 것만큼 나쁜 선례는 없습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이며 반박했다.
언론학자들은 성명서를 통해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들이 요구하는 절차에 따라 퇴진할 것, △수사당국은 철저한 수사와 처벌을 진행할 것, △여야는 합심하여 국민들의 대통령 하야 요구를 이행할 것, △언론은 본연의 사명을 수행하고 정치권 또한 공영언론 공정성을 위한 제도적 정비를 수행할 것 등을 요구했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