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 정상화위원회는 2012년 대선을 앞두고 안철수 후보의 박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했던 자사 보도가 “사실상 조작”이었다고 밝혔다. 문화방송 제공
<문화방송>(MBC)이 지난 2012년 10월 대선 당시 안철수 후보의 박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한 자사 보도에 대해 “사실상 조작된 것”이라고 18일 밝혔다.
과거 잘못된 보도 행태를 바로잡기 위해 노사 합의로 구성된 ‘문화방송 정상화위원회’(정상화위)는 이날 “당시 표절 의혹을 제기한 취재원과 인터뷰이의 신원은 불분명한 반면 표절이 아니라고 밝힌 교수의 발언은 보도 내용에서 배제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문화방송>은 2012년 10월1일, 2일, 22일 ‘뉴스데스크’ 등을 통해 안 후보의 논문 표절 의혹을 집중 보도했다. 안 후보의 서울대 의학박사 논문(1991년)이 같은 과 서아무개 교수의 2년 전 박사 논문 상당 부분을 베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보도는 공정성과 객관성을 크게 위반하고 반론권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았다며 같은 해 10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대선선거방송심의위로부터 법정제재인 ‘경고’를 받았다.
정상화위 조사에서 담당 기자는 “첫 보도부터 김장겸 당시 정치부장이 해당 기사를 주도했으며 지시를 거부하지 못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방송 사장을 지내다 지난해 해임된 김장겸 당시 정치부장은 이미 회사를 떠나 조사를 하지 못한 상태라고 정상화위는 밝혔다.
당시 정치부 기자들은 표절 의혹과 관련해 교수 4명에게 자문을 구했는데, 이 중 소속 대학·이름을 밝히고 표절이 아니라는 의견을 낸 교수 2명의 인터뷰는 실제 보도에 사용되지 않고 문화방송 영상자료실에 보관됐다. 반면 표절 판정을 내린 교수 2명은 실명을 밝히지 않고 음성이 변조된 채 뉴스에 등장했다. 이 인터뷰 자료는 자료실에 남아 있지 않으며 담당 기자는 이 교수들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맨 처음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는 취재원도 정체불명이다. 담당 기자는 지인의 소개로 2012년 9월 말 국회 복도에서 우연히 취재원을 만나 표절 의혹이 정리된 문건을 받았다며 취재원의 이름과 소속은 기억나지 않는다고 진술했고 취재원을 소개해준 지인은 그 후 사망했다고 정상화위는 밝혔다.
정상화위는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며 취재기자에 대해 인사위 회부와 징계를 요청했다. 김장겸 당시 정치부장에 대해선 “수사의뢰 등 추가 조처가 필요하다”고 했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