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미디어

“스물여덟 청상으로 효행 본보기 되신 할머니 생각나 울컥합니다”

등록 2021-03-25 21:08수정 2021-03-26 02:38

[기억합니다] 조모 하기순님 추모하는 손자의 글
고교시절의 필자 형광석(왼쪽)씨와 할머니 하기순(오른쪽)씨. 할머니는 중학교에 진학하는 맏손자를 따라 고향 화순에서 광주로 와서 함께 살며 내내 뒷바라지를 해주었다. 형광석 주주통신원 제공
고교시절의 필자 형광석(왼쪽)씨와 할머니 하기순(오른쪽)씨. 할머니는 중학교에 진학하는 맏손자를 따라 고향 화순에서 광주로 와서 함께 살며 내내 뒷바라지를 해주었다. 형광석 주주통신원 제공

15살에 결혼한 동갑내기 남편 ‘병사’
큰아들 앞세우고 셋째 딸은 유복자로
재혼 뿌리치고 아픈 시모 지극 봉양
1963년 전국선행자표창위원회 ‘열녀상’

‘할머니’, 생각만 스쳐도 나는 울컥한다. 전남 화순에서 광주로 유학해 중학교에 입학한 1971년 3월부터 1987년 11월 장가가는 날 아침까지, 나는 할머니께서 지어주신 밥을 먹고 자랐다. 그 이전 화순시절, 초등학교 4학년 때인 1968년 어느 추운 날, 약 3km를 걸어 집에 돌아오니, 할머니는 버선발로 달려오셔서 내 언 손을 볼에 갖다 대셨다. 그 부드러운 감촉을 어디서 다시 느끼랴.

‘할아버지’, 어려서 가장 늦게 배운 말이다. 부를 기회가 없었던 탓이다. 할머니는 1909년생으로 동갑인 할아버지와 만 15살 갓 넘긴 1924년 12월 혼인하셨다. 친정에서 3년을 머물다가 1927년 어느 좋은 날에 시집으로 옮겨 오셨다. 친정에서는 2남3녀 중 막내였으나 이제 맏며느리로 살아야 했다.

할아버지는 민족민립학교인 고창고보(현 고창고교)에서 공부하다가 병을 얻으셨다. 추운 방에서 지낸 탓이 컸다고 한다. 첫째 아들은 4살 무렵 홍역을 앓다가 하늘로 갔다. 1932년 4월 태어난 나의 부친 둘째 아들(형선기)은 외아들이 되었다. 셋째 아이의 출산을 한 달 앞둔 1937년 7월 할아버지는 ‘우리 부모를 잘 봉양해달라’는 말만 남기고 홀연히 눈을 감으셨다. 그뒤 태어난 딸은 아버지 얼굴조차 모르는 유복자가 되었다. 뒤따른 파도가 앞 파도를 덮치듯, 세상은 할머니를 ‘청상과부’로 불렀다.

어찌 유혹이 없으랴. 할머니는 용모가 깔끔하고 키도 훤칠하셨다. 재혼하라는 권유도 몇 번 받았다고 말씀하셨다. “조금도 개가하고 싶은 생각은 없었다.” 할머니는 정절을 지키셨다. 주위 여러분의 추천으로 1963년 2월 전국선행자표창위원회로부터 표창장(열녀)을 받으셨다. 안방에 걸린 그 표창장은 내내 나의 삿된 언행을 제어하는 균형추가 되었다.

할머니의 온갖 풍상을 기억하는 고을인 전남 화순군 도암면 도장 마을은 기묘사화가 일어난 1519년 진주형씨가 터를 잡은 마을이다. 500년 역사를 자랑한다. 1997년 5월 마을의 비석거리에 세워진 ‘유인진주하씨효열비’(孺人晉州河氏孝烈碑)는 할머니의 효행을 전한다. “시모 또한 병 드시매 매양 꿩고기를 원하시더니 하루는 솔개가 문득 꿩을 몰아 집에 들어오니 이를 잡아 드려서 병이 나으니 사람들이 다 말하기를 하늘이 부인의 효성에 감동된 소치라고 하였다.”

필자의 할머니 하기순님의 ‘열녀 표창장’. 형광석 주주통신원 제공
필자의 할머니 하기순님의 ‘열녀 표창장’. 형광석 주주통신원 제공

할머니께서는 가끔 말씀하셨다. “너희 증조부께서는 일제의 농민수탈이 극심한지라 농사에 대한 의욕을 잃고 도장리를 떠나 1943년 4월 광주로 이사하셨지, 그때 물로 배를 채우셨단다. 해방도 못 보시고 한 달 앞서 돌아가셨어야.”

할머니는 1949년 후반 광주에서 고향 마을로 되돌아왔다. 집을 지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1950년 6·25전쟁이 터졌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2009년 9월) 기록을 보면, 그 집에서 가까운 논에 1951년 3월17일 국군이 진주해 빨치산 혐의로 마을 주민 15명을 죽였다. 양민학살이었다. 그런 와중인 1951년 5월 외아들이 군에 입대하자 할머니는 날마다 정화수를 떠놓고 지극정성을 다했다. 그로부터 약 30년이 흐른 1980년 ‘5·18 광주민중항쟁’ 때 참담한 상황을 듣고 보면서 할머니는 “6·25 인공 때보다 더 무섭구나”라고 말씀하셨다.

필자의 부친인 형선기(오른쪽)씨와 모친 정기순(왼쪽). 형광석 주주통신원 제공
필자의 부친인 형선기(오른쪽)씨와 모친 정기순(왼쪽). 형광석 주주통신원 제공

비문은 말한다. “착하고 글을 잘 지으니 편지글이 매우 훌륭하였다.” 할머니의 친정은 전남 화순군 이서면 야사 마을이다. 조선 성종 때 마을이 들어서면서 심은 은행나무는 지금도 자태가 수려하다. 500여 년의 역사를 아로새긴 이곳은 호남에서 실학을 대표하는 나경적(1690∼1762)과 하백원(1781∼1844) 선생이 태어나고 생을 마감한 동네이다. 어느 마을보다도 글을 읽고 쓰기를 좋아했고 여성을 존중했던지, 할머니는 어렸을 적 글을 많이 필사했다. 그래서 동네에서 글을 읽고 편지를 쓸 줄 아는 몇 안 되는 여인이었다. 시집 올 때도 책을 가져와 즐겨 읽으셨다. 내게는 어릴 때 <장풍운전>을 자주 읽어주셨다. 글을 읽을 때면 감동으로 눈물까지 글썽거리시던 할머니의 50여 년 전 모습은 어느 영화의 장면보다 멋진 기억이다.

음력 1909년 6월26일 태어나 1937년 6월4일 28살 젊은 나이에 떠나신 할아버지 형고열, 1909년 8월8일 태어나 1991년 12월27일 하느님의 부름을 받은 할머니 하기순님이시여! 이렇게 만물이 약동하는 청명한 춘삼월에 혼령으로 오셔서 맏손자가 세계 최고의 언론 <한겨레>에 당신을 추모하는 글을 올리오니 기쁘게, 즐겁게, 신나게 굽어보시옵소서.

나주/형광석 주주통신원

■ 원고를 기다립니다

<한겨레>가 어언 33살 청년기를 맞았습니다. 1988년 5월15일 창간에 힘과 뜻을 모아주었던 주주와 독자들도 세월만큼 나이를 먹었습니다. 새로 맺는 인연보다 떠나보내는 이들이 늘어나는 시절입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탓에 이별의 의식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억합니다’는 떠나는 이들에게 직접 전하지 못한 마지막 인사이자 소중한 추억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물론 가족, 친척, 지인, 이웃 누구에게나 추모의 글을 띄울 수 있습니다. 사진과 함께 전자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한겨레 주주통신원(mkyoung60@hanmail.net 또는 cshim777@gmail.com), 인물팀(Peop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 재판 최대 쟁점은 ‘그날의 지시’…수사 적법성도 다툴 듯 1.

윤석열 재판 최대 쟁점은 ‘그날의 지시’…수사 적법성도 다툴 듯

전도사 “빨갱이 잡으러 법원 침투”…‘전광훈 영향’ 광폭 수사 2.

전도사 “빨갱이 잡으러 법원 침투”…‘전광훈 영향’ 광폭 수사

명절로 자리잡은 지 40년 안 된 ‘설날’…일제·독재에 맞선 수난 역사 3.

명절로 자리잡은 지 40년 안 된 ‘설날’…일제·독재에 맞선 수난 역사

내란의 밤, 불 난 120·112…시민들 “전기 끊나” “피난 가야 하나” 4.

내란의 밤, 불 난 120·112…시민들 “전기 끊나” “피난 가야 하나”

“탄핵 어묵 먹고 가세요” 무너진 법치, 밥심으로 일으킨다 5.

“탄핵 어묵 먹고 가세요” 무너진 법치, 밥심으로 일으킨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