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합니다] 고 박석남 어머니를 그리며
1973년 셋째형(이수룡)의 서울대 졸업식장에서. 왼쪽부터 필자(이재준), 어머니(박석남), 셋째형, 둘째형(이재진). 이재준 주주통신원 제공
“등록금 힘겨워 둘째 대학 떨어지길 기도”
그래도 5남1녀 대학 보낸 ‘이대 총장님’ 자식 사랑·지혜·판단력·생활력 ‘회상’
외국 사는 손주들 ‘뿌리 잊지 않기를’ 삶이 힘들고 지칠 때 마음을 다잡기 위해서, 또 이역만리 외국에 살고 있는 손자손녀들에게 ‘뿌리를 잊지 말라’는 마음을 전하고자, 하늘나라에 계신 어머니의 옛 시절을 회상하곤 한다. 내가 주경야독으로 공부하던 20대 시절, 어머니께서는 밤 11시 넘어서야 귀가하는 아들을 따뜻하게 반겨주셨고, 당신의 젊은 시절 이야기도 많이 해주셨다. 어머니와 한방에서 지내던 때여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새벽 두세 시가 되기 일쑤였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이제 와서 고백할 것이 하나 있다”라고 얘기를 꺼내셨다. “예전에 나는 참 나쁜 엄마였단다. 너의 둘째형이 사범학교 시험 보러간다고 했을 때, 가슴이 덜컥하면서, ‘그 시험에 떨어지게 해달라'는 기도를 했었다.” “그때, 너의 형이 그 시험에 붙어버리기라도 하면 등록금을 준비해야 하는데, 그럴만한 살림살이가 안 되니 너무 답답하여 그런 못된 기도를 했던 것이다.” “최고로 자랑스러운 유명한 학교였는데, 그 시험에 떨어지기를 바랐었다니….” 그럴 정도로 형편이 어려웠던 시절의 회한을 털어 놓은 것이었다. 내 어머니 박석남님은 1920년생으로 해방 전후 5남1녀를 낳아 길러냈다. 지난 100년 한국 근·현대사의 모습과 궤를 같이 하면서 살다 가신 한도 많고 곡절도 많았던 분이다. 궁핍한 산골에서 나고 자란 어머니는 하얀 저고리와 검정치마를 입고 학교에 가는 또래 친구들의 모습을 바라보며 그들과 같이 학교에 가고 싶었지만, 대신 빨랫감을 옆에 끼고 시냇가로 가야했다고 했다. 그렇게 어린 시절을 보내던 어머니는 전쟁으로 어수선하던 시절 환란을 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떠밀려 아버지와 결혼했다. 그렇게 만난 아버지의 집안 역시나 매우 가난했다. 시집에서 온전한 물건이라고는 다듬잇돌 한 개뿐이었다고 할 정도로 궁핍한 벽촌이다 보니, 어린 새댁은 앞날이 너무 기가차고 막막하여 ‘어디론가 도망가 버리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막상 도망을 하려던 순간, “그래! 나는 결심한다! 가난을 피해 도망가기보다는 열심히 살아, 내 자식들은 공부시켜서 농사꾼으로 살게 하지 않아야겠다는 목표가 떠올라, 새로운 인생 도전을 시작했다”고 했다.
1968년 큰형님(이재남·뒷줄 맨오른쪽)과 큰형수(박경님·뒷줄 가운데) 결혼 때 사돈댁과 함께한 중년의 어머니(앞줄 오른쪽) 모습. 이재준 주주통신원 제공
1920년생인 어머니(박석남)는 2012년 하늘로 떠나셨다. 향년 92. 5남1녀(이재남·재진·영자·수룡·재준·창건) 모두 대학을 나와, 어머니를 생전에 ‘이대 총장님’으로 부르곤 했다. 이재준 주주통신원 제공
※ 원고를 기다립니다
<한겨레>가 어언 33살 청년기를 맞았습니다. 1988년 5월15일 창간에 힘과 뜻을 모아주었던 주주와 독자들도 세월만큼 나이를 먹었습니다. 새로 맺는 인연보다 떠나보내는 이들이 늘어나는 시절입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탓에 이별의 의식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억합니다’는 떠나는 이들에게 직접 전하지 못한 마지막 인사이자 소중한 추억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물론 가족, 친척, 지인, 이웃 누구에게나 추모의 글을 띄울 수 있습니다. 사진과 함께 전자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한겨레 주주통신원(mkyoung60@hanmail.net 또는 cshim777@gmail.com), 인물팀(People@hani.co.kr).
한겨레 주주통신원(mkyoung60@hanmail.net 또는 cshim777@gmail.com), 인물팀(Peop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