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인권·복지

“군대에선 내 존재, 사랑, 관계 모든 것이 불법이었어요”

등록 2021-09-13 14:50수정 2021-09-13 15:17

인터뷰│성소수자 시각예술가 강영훈
위헌 논란 ‘군형법 92조의6’ 피해자들 증언 담아낸 작품 전시회
군 정신병원 갇히자 트라우마…영국 유학 2주 만에 증세 사라져
“이 사회, 누군가의 감옥일 수도…성소수자에게 안전한 군대되길”
성소수자 예술가 제람이 지난 2일 서울 마포구 한 카페에서 <한겨레>와 인터뷰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성소수자 예술가 제람이 지난 2일 서울 마포구 한 카페에서 <한겨레>와 인터뷰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군대에선 제 존재 자체가 불법이었어요. 제 사랑이 불법이고, 제 관계가 불법이었죠.”

아직도 군대 경험을 악몽으로 만난다는 중장년들이 적지 않다. 몸에 새겨진 기억 때문이다. 36살 시각예술가 강영훈(활동명 제람)씨에게 군은 악몽이 아니라, 여전히 잔인한 현실이다. “존재가 불법이 되면 자아가 깨진다. 군 내 성소수자가 실재하는 이상 성소수자에게도 안전한 군대가 돼야 한다”며 국가가 끊임없이 합헌이라고 말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의 폐지를 누구보다 강력히 주장하는 이유다.

군형법 제92조의6은 “군인·군무원·사관생도 등에 대해 항문성교 및 그 밖의 추행을 한 사람은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 법은 합의하고 성관계를 맺는 경우도 처벌 대상에 포함해 군대 내 성소수자의 사생활의 자유와 인권을 과도하게 차별 침해한다며 수차례 위헌 소송을 거듭해왔다. 그사이도 피해자는 나오기 마련이다. 강씨는 자신과 같이 이 법으로 직·간접적 피해를 받은 전·현직 군인 6명(본인 포함)의 증언을 시각예술작품으로 만들고 있다. <한겨레>는 지난 2일 서울 마포구 한 카페에서 그를 만났다.

그가 복무 중 군 정신병원에 갇혔다. 잊을 수 없는 2008년 9월23일. 성소수자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자신의 정체성을 군에 알린 건 선임들의 지속적인 성추행과 괴롭힘 탓이었다. 스트레스로 심한 두통을 겪자 진통제를 입에 털어 넣었다. 몸과 정신이 버텨낼 리 없었다. 강씨가 쓰러지자 지휘관이 조사에 돌입했다. 강씨는 ‘본인을 믿으라’는 지휘관 말을 믿고 자신은 성소수자라며 커밍아웃을 했다. 하루가 채 지나지 않아 강씨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이 부대 전체에 퍼졌다.

작가 제람의 전시 ‘유 컴 인, 위 컴 아웃-레터스 프롬 어사일럼’(You come in, we come out-letters from asylum). 강영훈 제공
작가 제람의 전시 ‘유 컴 인, 위 컴 아웃-레터스 프롬 어사일럼’(You come in, we come out-letters from asylum). 강영훈 제공

군은 그에게 두 가지 선택권을 줬다. 부대 내 독방에 가거나, 군 정신병원에 가야 했다. 영창이 아닐 뿐 갇히는 건 같았다. 군형법 제92조 6항과 엮으려 했지만 강씨가 동성 군인과 성관계를 했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없어 다른 선택지를 내민 것이다. 강씨는 “날 보호해주는 사람이 한 명도 없다고 생각하니 매일 눈 뜬 채 가위에 눌리고 있는 기분이었다. 더는 하루도 못 있겠다 싶어 군 정신병원에 들어갔다”고 회상했다.

116일간의 군 정신병원 생활은 강씨를 벼랑 끝으로 몰아갔다. 하루에 두 번 온몸이 나른해지는 약을 먹어야 했다. 약을 삼킨 뒤 입을 크게 벌리고 혀를 내밀어 확인을 받았다. 괴로움을 이기지 못해 극단적 선택을 하려 하자 두 팔과 다리를 침대에 묶었다. 몸이 굳는다고 두 시간에 한 번씩 한쪽 팔과 다리를 풀어 잠시 마사지를 해주고 다시 묶었다. 2009년 1월 그는 군 정신병원에서 나올 수 있었다. 강씨의 어머니가 ‘국가와 군을 상대로 정신적, 육체적 보상을 요구하지 않겠다’는 각서에 서명한 뒤였다. 그는 결국 히스테릭성 인격장애와 자아 이질적 동성애라는 진단을 받고 2009년 1월 조기 전역했다.

“군대에서 나오면 잘 살 수 있을 줄 알았어요. 입대 전엔 사람들과 잘 어울렸으니까. 그런데 사회 곳곳에 군대 문화가 스며들어 있더라고요.”

군 정신병원에 갇혔다 나온 뒤 생긴 트라우마는 공황장애로 번졌다. 강씨는 두 차례 직장에 들어갔지만 곧 그만뒀다. 스타트업 기업조차 군대문화에서 자유롭지 않았기 때문이다. 강씨는 도망치듯 영국 런던으로 유학을 떠났다. 조직 생활을 하지 않아도 되고, 오랜 꿈이었던 예술가의 길을 택했다. 강씨는 “영국에 정착한 지 2주 만에 공황장애 증세가 다 사라졌다. 성소수자인 게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 환경이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혐오 발언을 한 사람을 이상하게 여기는 곳이었다”고 했다. 그는 자신이 겪던 공황장애가 사회적·관계적인 압박에 의한 질병이었음을 깨달았다.

작가 제람의 전시 ‘유 컴 인, 위 컴 아웃-레터스 프롬 어사일럼’(You come in, we come out-letters from asylum). 성소수자 군인의 증언이 빼곡하게 적혀있다. 강영훈 제공
작가 제람의 전시 ‘유 컴 인, 위 컴 아웃-레터스 프롬 어사일럼’(You come in, we come out-letters from asylum). 성소수자 군인의 증언이 빼곡하게 적혀있다. 강영훈 제공

그가 ‘유 컴 인, 아이 컴 아웃-어 레터 프롬 어사일럼’(You come in, I come out-A letter from asylum)이란 작업을 하게 된 것도 영국에서 안전한 공간의 중요성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니 세상 끝까지 가도 한국 사람이 있겠더라고요. 물리적 공간뿐 아니라 관계적 공간도 안전해야 제가 살 수 있다는 걸 깨달았어요. 그때부터 물리적 공간과 관계적 공간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업을 시작했어요.”

강씨의 작품은 성소수자라는 이유로 군 정신병원에 갇혔던 경험을 편지 형식으로 표현한 설치물이다. 강씨는 이 설치물에 ‘어사일럼’(asylum)이란 이름을 붙였다. 어사일럼은 망명 또는 정신병원이란 뜻이다. 망명의 의미로 작품을 해석하면 ‘피난처’, 정신병원이라는 의미로 작품을 바라볼 때는 ‘가두는 공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강씨는 “공동체가 어떤 인식을 갖느냐에 따라 누군가에겐 이 사회가 피난처가 될 수도 있고, 누군가에겐 감옥이 될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려 했다”고 설명했다.

‘유 컴 인, 아이 컴 아웃’이란 제목을 붙인 것도 같은 맥락이다. 관객들은 어사일럼 밖에선 유리에 비치는 본인 모습밖에 보지 못한다. 반대로 안으로 들어오면 바깥이 훤히 보인다. 사방으로 둘러싼 유리 벽면에는 강씨 등 성소수자 군인들의 증언이 빼곡히 적혀있다. “어사일럼 밖은 사회가 가지고 있는 편견을 의미한다. 그래서 유리에 비치는 본인 모습밖에 볼 수 없다. 어사일럼 안에선 우리의 증언뿐 아니라 글 사이사이로 밖을 볼 수 있다. 공간에 들어와(유 컴 인) 관객은 기존의 편견과 사고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고, 나는 그 덕에 바깥으로 나갈 수 있다(아이 컴 아웃)는 걸 표현했다.”

작가 제람의 전시 ‘유 컴 인, 위 컴 아웃-레터스 프롬 어사일럼’(You come in, we come out-letters from asylum). 제람은 “유리벽 밖은 사회가 가지고 있는 편견을 의미한다. 그래서 유리에 비치는 본인 모습밖에 볼 수 없다”고 했다. 강영훈 제공
작가 제람의 전시 ‘유 컴 인, 위 컴 아웃-레터스 프롬 어사일럼’(You come in, we come out-letters from asylum). 제람은 “유리벽 밖은 사회가 가지고 있는 편견을 의미한다. 그래서 유리에 비치는 본인 모습밖에 볼 수 없다”고 했다. 강영훈 제공

이 전시는 2018년 런던에서 처음 열렸다. 강씨의 증언만 담은 전시였다. 지난해 서울에서의 전시 땐 강씨를 포함한 4명의 증언을 담았다. 올해 앞둔 전시에는 군인권센터의 도움을 받아 6명의 증언을 담을 수 있었다.

증언에 참여한 이들의 복무 시기는 1998년부터 현재까지다. 23년, 짧지 않은 시간이지만 군은 변하지 않았다. 1998년, 2008년, 2016년(2명)에 입대한 네 사람은 성소수자라는 이유로 군 정신병원에 보내졌다. 올해 증언에 참여한 두 사람은 현직 직업군인이다. 이들은 2017년 성소수자 군인 색출사건의 피해자다. 육군 중앙수사단은 지난 2017년 성소수자 군인을 색출해 군형법 제92조의6을 위반했다며 형사처벌하도록 지시했다. 이 사건으로 20명이 넘는 군인들이 형사입건됐다. 일부는 재판에 넘겨졌고, 일부는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증언에 참여한 한 군인은 성소수자 군인 색출 때 처참한 일을 겪어야 했다. 조사관이 그 앞에 책 한 권 분량의 인쇄물을 놓았다. 그의 메신저 대화 내용을 포렌식(디지털 증거 복원)한 것이었다. 성관계를 몇 번 했는지 세기 위해서였다. 강씨는 “성관계 횟수는 징계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사랑을 했을 뿐인데 그 내용을 취조하고 횟수를 센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군형법 92조의6이 문제인 건 우리 존재 자체를 불법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존재가 불법이 되면 자아가 깨진다. 군 내 성소수자가 실재하는 이상 성소수자에게도 안전한 군대가 돼야 한다. 이를 위해 군형법 추행죄 폐지는 필수다”라고 했다.

성소수자 예술가 제람이 지난 2일 서울 마포구 한 카페에서 &lt;한겨레&gt;와 인터뷰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성소수자 예술가 제람이 지난 2일 서울 마포구 한 카페에서 <한겨레>와 인터뷰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군형법 92조의6은 2002년, 2011년, 2016년 세 차례 위헌 심판대에 올랐다. 헌법재판소는 세 번 모두 합헌이라고 결정했다. 그 뒤 2017년과 2020년 각각 인천지법과 수원지법이 이 조항이 헌법에 어긋난다며 다시 위헌제청을 해 심리 중이다. 19대와 20대 국회에서 이 법을 폐지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된 적 있었고, 21대 국회에서는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발의를 준비하고 있다.

“우리 건강하게 살다가 자연사해요.” 트랜스젠더 작가 김비는 썼다. 강씨는 이 글귀를 어디에선가 여러 이유로 고통받고 있을 성소수자에게 전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성소수자가 아닌 이들에게도 말을 전했다. “여러분들, 좋은 이웃이 되어 주세요. 우리 같이 살아요. 안전한 공간이 많아지면 여러분도 더 안전해질 거예요.”

작가 제람의 전시 ‘유 컴 인, 위 컴 아웃-레터스 프롬 어사일럼’(You come in, we come out-letters from asylum)은 오는 16일부터 26일(추석기간 휴관)까지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청년예술청 그레이룸에서 열린다. 

박고은 기자 eu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속보] 중앙지법,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수사 계속할 이유 없어” 1.

[속보] 중앙지법,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수사 계속할 이유 없어”

[속보] 법원,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검찰, 26일 내 기소할 듯 2.

[속보] 법원,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검찰, 26일 내 기소할 듯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 3.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

검찰, 윤석열 구속연장 불허에 당혹…연장 재신청·기소 모두 검토 4.

검찰, 윤석열 구속연장 불허에 당혹…연장 재신청·기소 모두 검토

법조계,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 “굉장히 이례적” “이해 안돼” 5.

법조계,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 “굉장히 이례적” “이해 안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