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기간 동안 학교 폐쇄에 따른 수업 결손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사교육비 지출을 월평균 8만8000원가량 증가시켰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1일 한국교육개발원의 논문 ‘고등학생의 사교육 비용 및 시간에 대한 코호트 간 비교 분석: 코로나19 시기의 학교 폐쇄 효과를 중심으로’를 보면,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학교 폐쇄 조치가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사교육비를 월평균 8만8000원 밀어올린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저소득 집단에서 약 8만원, 중간 소득 집단에서 약 8만4000원, 고소득 집단에서 약 10만3000원씩 증가했다.
연구진은 분석 대상을 2009년 고2, 2010년 고3이었던 일반고 고교생 집단 3083명과 2019년 고2, 2020년 고3이었던 일반고 고교생 집단 4269명 등 두 집단으로 정했다.
2009∼2010년 고교생 집단의 월평균 사교육비를 보면, 고2이던 2009년 47만2000원에서 고3이 된 2010년 36만5000원으로 줄었다. 반면 2019∼2020년 고교생 집단의 경우, 고2이던 2019년 53만8000원에서 고3이 된 2020년 53만4000원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첫번째 집단에선 고2에서 고3으로 올라갈 때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10만원가량 감소했지만 두번째 집단에서는 4000원밖에 줄지 않은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2020년 고3 학생들은 개학 연기와 원격 수업 등을 경험했는데, 이러한 새로운 변수가 사교육비 감소폭이 미미한 데에 영향을 미쳤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른 요인들이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2019∼2020년 고교생 집단이 2009∼2010년 고교생 집단보다 월평균 사교육비로 5만6000원을 더 지출했는데, 2020년 고3과 2010년 고3의 월평균 사교육비만 보면 격차가 16만9000원까지 벌어진다. 즉 집단 간 차이 외에 또 다른 변수가 사교육비 차이가 벌어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코로나19 시기 수업 결손은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는 시간 증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2009년 고2이던 학생의 국어·영어·수학 과목의 일주일 평균 사교육 시간이 약 7시간12분이었다가 2010년 고3이 되면서 약 5시간24분으로 감소했다. 이와 달리 2019년 고2이던 학생들의 일주일 평균 사교육 시간은 약 7시간 50분이었는데, 2020년 3학년이 되자 약 8시간 25분으로 오히려 35분 늘었다. 모든 소득 집단과 지역에서 코로나19 시기 수업 결손이 사교육 시간을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했고 저소득 집단(2시간30분), 읍·면·특수지역(3시간15분)에 가장 두드러졌다.
연구진은 “학교 폐쇄로 수업 공백이 나타났을 때 고등학생들은 사교육에 시간과 비용을 보다 많이 투자함으로써 학업의 공백을 최소화하고자 했다”며 “취약계층이 다른 집단과 같이 사교육비와 참여 시간을 늘리는 것은 가계부담을 심화시킬 수 있다. 학습 결손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