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8곳을 선정해 모두 540억원을 지원하는 ‘반도체 특성화 대학’ 사업에 서울대와 성균관대, 경북대, 부산대 등이 선정됐다. 이들 대학은 정부의 지원금을 바탕으로 반도체 학과를 신설하거나 융합 전공을 개설해 반도체 인재를 배출하게 된다.
교육부가 13일 발표한 ‘반도체 특성화 대학 사업의 선정 결과’를 보면, 우선 수도권에서는 서울대와 성균관대가 각각 45억원을 지원 받는다. 수도권 대학인 명지대와 비수도권 대학인 호서대는 연합을 꾸려 70억원을 지원 받는다. 비수도권에서는 경북대, 고려대 세종캠퍼스, 부산대가 각각 70억원, 전북대·전남대 연합, 충북대·충남대·한국기술교육대 연합이 연합당 85억원의 예산을 받는다. 반도체 특성화 대학 사업은 교육부가 반도체 인재양성 정책의 일환으로 지난 2월 계획을 공개한 것으로, 반도체 인재를 양성할 대학이나 대학 연합 8곳을 정해 올해 한해 동안 총 540억원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선정된 대학은 올해부터 2026년까지 4년 동안 재정 지원을 받는다.
이번에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된 학교들은 차세대 반도체나 시스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등 특성화 분야를 정하고 반도체 학과를 신설하거나 반도체 트랙(반도체 관련 학과를 연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관련 산업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예컨대 서울대는 반도체 회로·시스템, 소자·공정을 특성화 분야로 정해, 첨단융합학부 반도체 전공을 신설하고 반도체 트랙을 운영한다. 성균관대는 차세대 반도체를 특성화 분야로 정하고 반도체융합공학과를 새로 만든다.
아울러 교육부는 ‘반도체 인재양성 지원 협업센터’를 운영해 반도체특성화대학들이 산업계, 연구계와 함께 인력 수요와 산업 동향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런 지원 정책을 통해 해마다 한 대학에서 50명씩, 8곳 대학을 합해 400명의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목표다.
다만 정부의 반도체 학과 지원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하다. 반도체 산업의 인력 수요에 대한 분석과 인재의 수도권 쏠림 현상 개선 등이 동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송경원 정의당 정책위원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반도체 산업은 그 특성상 등락이 있고 이직률이 높기 때문에 대학을 지원해 반도체 인재를 배출하려는 전략에는 위험성이 있다”며 “이들이 졸업 후 갈 안정적인 산업 환경을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유성룡 에스티유니타스 교육연구소장은 “대학의 위치가 어디인지, 수도권인지 비수도권인지에 따라 우수 학생을 유치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