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영어 공교육 정책
‘영어공교육 혁신’ 어떻게
‘교사 재교육’ 예산 많이 들어
특별채용제는 사범대생 반대
상시평가시험장 마련도 시급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영어 몰입교육 도입 계획을 전면 백지화함에 따라 차기 정부의 영어 공교육 혁신방안은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 확대’, ‘대학 수학능력 시험(수능) 영어 과목 폐지’ 두 가지로 정리됐다. 하지만 영어능력 평가시험 마련, 영어교사 확충 등 보완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 확대=영어 과목을 영어로 가르치는 방안은 2010년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부터 적용된다. 이들은 수능에서 영어 과목이 폐지되는 2013학년도 대입을 치를 학생들이다. 이들이 고교 3년 동안 학교에서 영어 수업을 받은 것만으로 새로 도입할 ‘영어능력 평가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인수위의 구상이다. 중학교와 초등학교에서 영어 과목을 영어로 수업하는 방안은, 고교 영어수업 대책이 완성된 뒤 단계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영어능력 평가시험=2013학년도 수능부터 영어 과목을 없애는 대신, 학생들은 여러 차례 응시할 수 있는 영어능력 평가시험 성적을 대학 입학 전형 때 활용하도록 한다.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교육인적자원부가 개발 중인 것을 활용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말하기·듣기·읽기·쓰기 등 네 영역을 인터넷 기반 시험(IBT) 방식으로 평가하는 시험을 만들어 2009년 하반기부터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인수위는 수능 대신 이 시험을 도입하는 것이 사교육 열풍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점수가 아닌 ‘등급’으로 평가하게 할 생각이다. 시행 첫해인 2013학년도엔 듣기·읽기만 대학 입학전형에 활용하고, 이르면 2015학년도부터 네 영역을 모두 활용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과제=인수위가 가장 시급하다고 꼽는 것이 영어로 수업을 할 수 있는 영어교사를 확보하는 일이다. △외국 연수 등 현직 영어교사들의 재교육 △영어교사 임용시험 강화 △현 교원 임용시험과 별도로 ‘영어전담 교사 자격제’ 도입 등의 방안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다. 현직 영어교사를 심화연수 등으로 재교육하는 데 1인당 몇 천만원씩 많은 돈이 든다. 임용시험과 별도로 영어전담 교사를 뽑는 방안도, 사범대 출신 임용시험 준비자들의 거센 반발을 부를 것으로 보인다. 임용시험 준비생들의 인터넷 카페 등은 이미 벌집을 쑤신 듯 들썩이고 있다. 영어수업을 영어로 하는 데 필요한 영어 교과서도 마련해야 하고, 교육과정도 개정해야 한다. 유신재 기자 ohora@hani.co.kr
특별채용제는 사범대생 반대
상시평가시험장 마련도 시급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영어 몰입교육 도입 계획을 전면 백지화함에 따라 차기 정부의 영어 공교육 혁신방안은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 확대’, ‘대학 수학능력 시험(수능) 영어 과목 폐지’ 두 가지로 정리됐다. 하지만 영어능력 평가시험 마련, 영어교사 확충 등 보완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 확대=영어 과목을 영어로 가르치는 방안은 2010년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부터 적용된다. 이들은 수능에서 영어 과목이 폐지되는 2013학년도 대입을 치를 학생들이다. 이들이 고교 3년 동안 학교에서 영어 수업을 받은 것만으로 새로 도입할 ‘영어능력 평가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인수위의 구상이다. 중학교와 초등학교에서 영어 과목을 영어로 수업하는 방안은, 고교 영어수업 대책이 완성된 뒤 단계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영어능력 평가시험=2013학년도 수능부터 영어 과목을 없애는 대신, 학생들은 여러 차례 응시할 수 있는 영어능력 평가시험 성적을 대학 입학 전형 때 활용하도록 한다.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교육인적자원부가 개발 중인 것을 활용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말하기·듣기·읽기·쓰기 등 네 영역을 인터넷 기반 시험(IBT) 방식으로 평가하는 시험을 만들어 2009년 하반기부터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인수위는 수능 대신 이 시험을 도입하는 것이 사교육 열풍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점수가 아닌 ‘등급’으로 평가하게 할 생각이다. 시행 첫해인 2013학년도엔 듣기·읽기만 대학 입학전형에 활용하고, 이르면 2015학년도부터 네 영역을 모두 활용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과제=인수위가 가장 시급하다고 꼽는 것이 영어로 수업을 할 수 있는 영어교사를 확보하는 일이다. △외국 연수 등 현직 영어교사들의 재교육 △영어교사 임용시험 강화 △현 교원 임용시험과 별도로 ‘영어전담 교사 자격제’ 도입 등의 방안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다. 현직 영어교사를 심화연수 등으로 재교육하는 데 1인당 몇 천만원씩 많은 돈이 든다. 임용시험과 별도로 영어전담 교사를 뽑는 방안도, 사범대 출신 임용시험 준비자들의 거센 반발을 부를 것으로 보인다. 임용시험 준비생들의 인터넷 카페 등은 이미 벌집을 쑤신 듯 들썩이고 있다. 영어수업을 영어로 하는 데 필요한 영어 교과서도 마련해야 하고, 교육과정도 개정해야 한다. 유신재 기자 oh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