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교육

강남학군 학원은 2배나 늘고

등록 2009-07-16 06:39수정 2009-07-16 06:40

02
02
영어몰입교육·외고 열풍…
2007년 599곳→ 올해 1218곳




‘사교육비 절반’ 공약 이명박 정부 출범 뒤…

‘사교육비 절반’을 약속한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서울 ‘강남학군’의 입시·보습학원 수가 오히려 2배로 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이 전국 시·도교육청에서 제출받은 학원·교습소 등록 현황을 분석해 15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현 정부 출범 직전인 2007년 12월 599곳이던 서울 강남교육청(강남·서초구) 관내 입시·보습학원이 올해 6월에는 1218곳으로 1년6개월 사이에 갑절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서울의 전체 입시·보습학원 수는 6596개에서 7716개로 17% 늘었으며, 전국적으로는 3만760개에서 3만3385개로 12.3% 증가했다.

9명 이하의 수강생들에게 한 과목만을 가르칠 수 있는 소규모 입시교습소도 강남구는 1.8배, 서초구는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서울과 전국의 입시교습소 증가율은 각각 41.3%, 35.1%였다.

이런 학원 수 증가는 국제중·자율형사립고 설립, 전국 단위 학업성취도평가(일제고사) 실시와 점수 공개 등 경쟁과 서열화를 부추기는 현 정부의 교육정책이 교육 특권층이 밀집한 강남지역에 엄청난 사교육 수요를 창출했음을 보여준다고 권 의원 쪽은 분석했다.

특히 영어몰입교육 등 영어교육 강화 정책과 외국어고 입시 열풍 등의 영향으로 외국어학원 수는 현 정부 출범 뒤 서울에서 32.4%, 전국적으로는 2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 의원은 “이명박 정부가 진정으로 사교육을 줄일 마음이 있다면 학원만 규제할 것이 아니라 경쟁 위주인 교육정책의 기조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규 기자 jklee@hani.co.kr


고소득층은 교육비 지출 늘고

상위20% 1년간 3.4% 증가
전체가구는 평균0.7% 감소

경기침체로 모든 가계가 씀씀이 규모를 대체로 줄이고 있지만 고소득층의 교육과 보건의료 부문 지출은 되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득 상·하위 계층간 교육비 지출 격차는 더 벌어졌다.

15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에 소득 상위 20% 계층의 교육비 지출은 55만7445원으로 1년 전(53만9246원)에 견줘 3.4% 늘어났다.
02
02

가계소비지출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16.2%에서 17.9%로 높아졌다. 고소득 계층은 보건의료 지출 역시 지난해 1분기 18만4345원에서 올해 1분기 18만8195원으로 늘렸다.

이에 반해 하위 20% 계층은 같은 기간 교육비 지출을 11만7459원에서 10만9810원으로 6.5% 줄였다. 보건의료비도 9만6376원에서 9만4538원으로 줄어들었다.

이로써 상·하위 20% 계층의 월평균 실질 교육비 지출액 격차는 1년 사이 4.59배에서 5.08배로 더 벌어졌다. 보건의료비 지출 격차 역시 1.91배에서 1.99배로 커졌다.

한은 관계자는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가계의 소비심리가 대체로 얼어붙은 것은 맞지만, 상대적으로 여유있는 고소득층의 경우엔 사교육비 지출이나 건강관리 비용을 쓰는 데 인색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전체 가구의 월평균 실질 소비지출은 지난해 1분기 205만6231원에서 올해 1분기엔 191만6436원으로 6.8%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교육비 지출은 월평균 30만1699원에서 29만9502원으로 0.7% 감소했다. 보건의료비 지출은 12만2282원에서 12만5524원으로 2.7% 늘었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속보] 윤석열 쪽 증인 국정원 3차장 “선관위, 서버 점검 불응 안했다” 1.

[속보] 윤석열 쪽 증인 국정원 3차장 “선관위, 서버 점검 불응 안했다”

윤석열 아전인수…“재판관님도 그렇게 생각할 것 같은데요” 2.

윤석열 아전인수…“재판관님도 그렇게 생각할 것 같은데요”

공룡 물총 강도에 “계몽강도” “2분짜리 강도가 어디 있나” 3.

공룡 물총 강도에 “계몽강도” “2분짜리 강도가 어디 있나”

“우울증은 죄가 없다”…초등생 살해 교사, 죄는 죄인에게 있다 4.

“우울증은 죄가 없다”…초등생 살해 교사, 죄는 죄인에게 있다

윤석열 “계엄 때 군인들이 오히려 시민에 폭행 당해” 5.

윤석열 “계엄 때 군인들이 오히려 시민에 폭행 당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