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년 설립요건 완화 뒤 52곳 생겨
24곳 폐교 또는 평가서 하위등급
24곳 폐교 또는 평가서 하위등급
정부가 대학 설립 규제를 완화한 1995년 이후 등장한 4년제 일반대의 절반 가까이가 문을 닫거나 부실 대학으로 지정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설립·정원 규제를 느슨하게 푼 뒤 교육의 질 관리를 소홀히 한 교육부의 ‘정책 실패’ 탓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태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17일 내놓은 정책자료집 ‘5·31 교육개혁 실태 진단’을 보면, 대학 설립 요건을 완화한 1995년 ‘5·31 교육개혁안’ 이후 1996~2014년 신설되거나 4년제로 개편된 일반대가 52곳이다. 이 가운데 5곳(건동대·경북외국어대·명신대·성민대·아시아대)이 폐교됐고, 5곳은 다른 대학에 통합됐다. 14곳은 2011~2015년 정부 재정지원 제한 대학이나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 등에 지정된 적이 있는 ‘하위 대학’이다. 52곳 중 24곳(46.2%)이 문 닫거나 부실 대학으로 전락한 셈이다.
5·31 교육개혁 당시 정부는 대학 정원도 자율화해 4년제·전문대의 정원이 1995년 49만8000여명에서 7년 만인 2002년 65만6000명으로 15만8천명(32%)이나 급증했다. 하지만 곧바로 학령인구 급감으로 참여정부 때 7만1000명, 이명박 정부 때 3만4000명을 감축했고, 박근혜 정부도 추가로 2023년까지 16만명을 감축할 계획이다.
대학 설립·정원 자율화는 5·31 교육개혁안의 핵심 대학 정책이다. 교원과 학교 터 등 일부 요건을 최소한만 충족하면 대학 신설을 허용하는 ‘준칙주의’를 적용해 대학이 급증했고, 정원도 최소 요건만 갖추면 자율로 늘릴 수 있도록 해 폭증했다.
그러나 교육부의 질 관리는 느슨했다. 대학들이 법정 기준을 지키지 않아도 솜방망이 제재에 그쳤다. 교육 여건도 그다지 나아지지 않아 교원과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2014년에도 법정 기준에 미달했고, 1995~2014년 사립대 등록금이 거의 갑절로 올랐어도 실험실습비·도서구입비의 증가는 미미했다. 최근 교육부의 대학 구조개혁평가에서 최하위(E등급) 대학 6곳 가운데 5곳(대구외국어대·루터대·서울기독대·신경대·한중대)이 5·31 조처 이후 등장한 대학이란 사실도 이를 뒷받침한다.
김 의원은 “경쟁과 규제완화만 강조한 신자유주의적 5·31 조처로 부실 대학이 양산되는 등 폐단이 심각하다”며 “고등교육재정 확대, 사학 운영 투명화, 국립대 자율성 보장 등으로 대학 서열화와 과도한 사학 의존에서 서둘러 벗어나는 대학 정책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짚었다.
이수범 기자 kjls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