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박근혜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과정을 “교육계에서 청산해야 할 대표적인 과제”라고 지적했다. 또 김 부총리는 국정화 추진에 앞장선 교육부와 관련해 “학교와 사회에 민주주의를 정착시켜야 할 책무를 지닌 교육부가 자신의 역할을 저버렸다”고 짚었다.
김 부총리는 2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 첫 회의에 참석해 진상조사위 출범의 당위성과 그 의의, 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해 이렇게 밝혔다. 김 부총리는 먼저 진상조사위 출범 배경 등과 관련해 “대다수 국민이 국정 역사교과서에 반대하는데도 당시 교육부는 ‘국정 교과서야말로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한 시대적 과제’라고 평하면서 비공개로 교과서 집필진을 구성하고 법률에서 요구하는 국정교과서 조직에 대한 국회감사도 거부했다”고 말했다.
또 그는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강행한 교육정책이 갈등과 분란을 일으키고 국민들에게 상처와 아픔을 안기지는 않았는지 교육부 스스로 반문하고 성찰하지 않을 수 없다”며 “무너진 민주 국가의 시스템을 바로세우고, 비정상의 정상화를 추진하기 위해 그동안의 실행과정을 냉철하게 복기하고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부총리는 친일문제를 연구한 고 임종국 선생을 언급하며 진상조사위 활동에 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김 부총리는 “임종국 선생은 친일연구 과정에서 본인 아버지의 이름도 친일 인물로 기록했다”며 “사실 이외에 혈연과 지연 등 다른 것은 보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이런 마음으로 위원회가 세운 기준을 존중하고 일관성 있는 조사를 추진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그는 교육부를 겨냥해 “당시 관계자들은 윗선에서 시키는 대로 할 뿐이었는데 너무 가혹한 것 아니냐며 내심 억울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진실규명의 과정이 없다면, 국민들에게 교육부가 다시 신뢰를 얻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또 “진실 규명의 과정에서 나타난 과오는 제가 교육부를 대표해서 국민 여러분께 용서를 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진상조사위는 이날 첫 회의를 시작으로 내년 2월말까지 약 6개월간 운영될 예정이다. 진상조사위는 고석규 위원장(전 목포대 총장)을 비롯해 모두 15명의 민·관 위원으로 꾸려졌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