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스트 엄마와 초딩 아들의 성적 대화>를 펴낸 김서화 작가(서울대 여성학 협동 박사과정). 사진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가정에서 바로 적용해볼 수 있는 생활밀착형 성교육 책이 요즘 화제다. 김서화 작가의 <페미니스트 엄마와 초딩 아들의 성적 대화―양육자를 위한 초등 남아 성교육서>(미디어일다), 성교육 전문가 손경이씨의 <당황하지 않고 웃으면서 아들 성교육 하는 법>(다산에듀) 등은 아들 둔 보호자를 대상으로 친절하게 성교육 방법을 일러준다. 이제는 부모가 “아들, 방문 닫고 뭐 하니?”라는 말로 어색하게 성교육을 시작할 필요 없다는 이야기다.
특히 초등학생 아들과 1학년 때부터 나눈 엄마와 아들의 성적 대화가 반응이 좋다. 김서화 작가(서울대 여성학 협동 박사과정)는 “기존 성교육이 남자는 힘이 세어야 하고, 울면 안 된다 등에 머물렀다면, 이제는 사내다움에 대한 사회적 억압을 거부해도 된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며 “몽정 등 아이 몸의 변화뿐 아니라 교실 커뮤니티 안에서 이성 친구를 대하는 법, 누구나 성폭력 등의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것 등에도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작가는 특히 대화를 강조했다. 초등 1~3학년 등 아이가 어릴수록 성교육을 하기 좋다. 그 시기 아이들은 어떤 주제라도 보호자와 대화하는 걸 즐기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보호자가 ‘아직 어리니까 알 필요 없겠지’라고 생각하다가, 막상 아이가 질풍노도의 시기에 들어서면 해결 방법이 없다. 서로 집에서 말 한마디 안 하고 지내는 때가 오기 때문이다.
초등 저학년 때는 ‘내 몸 그려보기’, ‘다른 사람이 만졌을 때 싫은 부분 표시해보기’ 등 활동을 통해 아이와 자연스레 성적 대화를 나눌 수 있다. 김 작가는 보호자가 일방적으로 설명하고 가르치는 방식보다는 아이 눈높이에서 가족 구성원 전체가 참여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효과가 있다고 전했다. “○○는 누가 목을 만지면 기분이 안 좋은가 보구나. 아빠는 남이 허락 없이 등을 만지면 싫던데” 등 일상 대화를 시작해보자. 아이 자신의 몸이 성장하면 부모의 몸처럼 된다는 것도 알려주면 좋다. 신체의 성장과 변화는 부끄러운 일이 아닌,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점을 짚어주고, 타인의 몸도 내 몸처럼 존중해야 할 영역이라고 이야기해주자. 성교육이라고 해서 무조건 성기 중심으로 진행할 필요도 없다. 김 작가는 ‘우리 가족의 성평등 점수는?’ 등 질문을 던져보면 자연스레 여자와 남자에 대한 이야기를 꺼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지윤 기자
kimjy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