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 식민지배 사죄배상! 동아시아 평화실현! 3.1운동 103주년 기념 민족자주대회’ 참가자들이 ‘일본은 식민지배 사죄하라!’ 등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otr@hani.co.kr
3·1절을 맞아 시민사회단체들이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집회를 열어 일본의 공식 사죄와 배상을 요구했다.
전국민중행동과 일본군성노예제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양대 노총 등은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3·1운동 103주년 기념 민족자주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일본 식민지 통치 역사를 바로잡고 일본으로부터 제대로 된 사죄·배상을 받기 위해 민족자주대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오늘은 3·1운동 103주년이 되는 날이지만, 일본식민지배 35년 동안 우리땅 우리 민족을 고통에 빠뜨렸던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100여 년이 흐른 오늘날까지도 식민지 통치역사를 왜곡하고 미화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또한 이들은 일본 정부가 군함도에 이어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 추진하고 있다며 강력하게 비판했다. 김영환 강제동원 공동행동 정책위원장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는 강제동원·식민지배 문제 해결을 위해 3·1절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며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를 앞두고, 일본 시민들과 함께 싸워야 한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도 “위안부 피해자들이 수요시위 중단과 소녀상 철거, 역사 왜곡을 통해 강제동원과 성노예제의 과오를 지우려는 일본 극우의 오랜 숙원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회복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소녀상은 종로구청의 시설보호 요청에 따라 경찰의 펜스에 둘러싸여 있었다. 현장의 사진을 모아본다.
참가자들이 ‘우리 힘으로 역사를 바로 세우자’ 등의 구호를 쓴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참가자들이 순국선열을 위한 묵념을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참가자들이 ‘우리 힘으로 역사를 바로 세우자’ 등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참가자들이 집회를 마치며 손팻말을 들고 만세삼창을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