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자녀의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이 40.5%로, 전체 국민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71.5%)보다 31%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국민과의 취학률 격차는 3년 전보다 1.7배나 더 벌어졌다.
여성가족부는 27일 전국 다문화가족 1만5578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3년마다 실시, 국가승인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고등교육기관(4년제 미만·이상 대학교, 대학원 포함) 취학률은 빠르게 낮아지는 추세다. 다문화가족 자녀 고등기관 취학률은 전체 국민(71.5%)보다 31%p나 낮은 40.5%였다. 지난 2018년 조사 때 다문화가족 자녀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49.6%로, 3년 새 9.1%p 낮아졌다. 전체 국민과의 격차는 2018년 18%p에서 31%p로 1.7배나 늘었다. 13살 이상 다문화가족 자녀 가운데 4년제 이상 대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비율은 67.1%로 전체 청소년(80.7%)보다 13.6%p 낮았다.
자녀가 있는 다문화가족 대부분은 학습 지도 등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6살 이상 자녀를 키우는 응답자 88.1%가 자녀양육이 어렵다고 했다. 이들 가운데 절반(50.4%)은 학습 지도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5살 이하 자녀를 키우는 한부모 다문화가족의 93.7%가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한국어 지도(26.8%)가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꼽았다.
코로나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다문화가구의 경제활동은 더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자·기타귀화자의 고용률은 60.8%로 3년 전보다 5.6%p 떨어졌고, 전체 국민(62.4%)보다 1.6%p 낮았다. 지난 2018년 조사 때는 결혼이민자·기타귀화자 고용률(66.4%)이 전체 국민(63.1%)보다 높았던 것과 대비된다. 직종으로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 비율은 32.4%로, 전체 국민(14.4%)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다문화가족은 꼭 필요한 정부 서비스로 일자리 소개, 한국사회 적응 교육, 입국 전 준비교육 등을 꼽았다.
다문화가구는 전체 34만6017가구이며 결혼이민자 가구가 82.4%(28만5005가구), 기타귀화자 가구가 17.6%(6만1012가구)였다. 가족구성에 따른 비율은 부부+자녀 가구(35.5%), 부부 가구(30%), 한부모 가구(10.9%), 1인 가구(8.3%) 순으로 많았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이 필요로하는 정책을 적극 발굴해, 현재 수립 중인 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에 충실히 담아내겠다”고 밝혔다.
박고은 기자
eu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