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서울 오후 서울 도봉구 도봉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만난 김남석(55) 소장. 그는 하반신 마비로 전동휠체어를 타고 생활한다. 박지영 기자
7년 전 장애인복지관에서 설치해준 화재 감지기가 처음으로 울린 건 지난달 22일이었다. 그날도 지체장애인 김남석(55)씨는 퇴근 뒤 평소와 다름없이 늦은 밤까지 티브이(TV)를 보다 잠이 들었다. 새벽 두시 무렵 얕은 잠이 든 김씨를 깨운 건 다름 아닌 서울종합방재센터 직원의 목소리였다. “지금 선생님 댁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울린다고 뜨는데, 혹시 집에 불이 났나요?” “네?” 화들짝 놀란 김씨는 몸을 일으켜 세웠다. 김씨 눈앞엔 검은색 연기가 솟구치고 있었다. 주방 쪽으로 몸을 돌리자, 김치냉장고 뒤편에서 불꽃이 솟아올랐고, 검은 연기가 천장까지 뒤덮었다. 매캐한 연기를 들이마신 김씨는 쓰러지기 직전 간신히 핸드폰에 대고 말했다. “제 현관 비밀번호는요….”
지난 6일 <한겨레>와 만난 김씨는 “7년 전 ‘혹시나’하는 마음으로 등록한 ‘119안심콜’이 아니었으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고 했다. ‘119안심콜서비스’는 소방청이 독거노인·중증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응급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2008년 도입한 구급서비스다. 지난해부터 소방청은 보건복지부 응급안전안심서비스 가입자에게도 119안심콜서비스를 확대해 제공하고 있다. 가입자 가정에 화재 감지기를 설치해 화재·가스사고 등이 발생했을 경우 119에 응급상황이 자동으로 신고된다.
당시 신고를 받고 김씨 자택으로 현장 출동한 노길미(43) 도봉소방서 화재조사관은 출동 과정에서 방재센터로부터 무전으로 김씨가 119안심콜서비스 등록자라는 사실과 김씨의 현관 비밀번호를 전달받았다고 한다. 노 조사관은 “김씨가 지체장애인이라는 정보까지는 알지 못했지만, 장애인이나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이 주로 가입하기 때문에 ‘신고자는 장애인일 확률이 높다’고 보고 현장에 갔다”고 했다. 화재는 2시간 만에 진압됐고, 연기를 마시고 쓰려졌던 김씨는 인근 병원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은 뒤 다음날 퇴원했다.
김씨는 자신과 같은 중증장애인과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대상 119안심콜서비스가 “제대로 작동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도입된 지 14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119안심콜서비스를 모르는 장애인이 많고 시각·지적 장애인 같은 경우 서비스 등록까지 여러 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8월24일 서울 은평구 역촌동 빌라 4층에 살던 50대 시각장애인 ㄱ씨가 아래층에서 난 불을 미처 피하지 못하고 끝내 숨진 사건에서도 사전에 해당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나 안타까움을 남기기도 했다. 2층에서 시작된 화재에 이웃주민 4명은 대피해 생명에 지장은 없었지만, 앞을 볼 수 없었던 ㄱ씨는 현관문 앞에서 쓰러진 채 발견됐다.
지난 6월 말 기준 119안심콜서비스 등록 장애인은 1만5959명으로 전체 등록 장애인(264만5000명)의 0.6% 수준이다. 김씨는 “장애인복지관이나 구청 쪽에서 취약계층이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현장 구조대원들에게도 119안심콜서비스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노 조사관은 “만약 이 서비스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다면 더 큰 아파트 화재로 번질 수 있었다”며 “앞으로 장애 유형이나 또 다른 거주인 유무 등 세부적인 정보까지 안심콜 서비스에 등록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119안심콜서비스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람(본인 또는 자녀 등 대리인)이 ‘
119안전신고센터 누리집(http://119.go.kr)’을 통해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와 병력, 복용 약물 등을 등록하면 된다.
박지영 기자
jy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