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슬픔을 넘어 안전의 공간으로 [만리재사진첩]

등록 2023-10-26 15:46수정 2023-10-26 15:51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 입구에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안내하는 동판이 설치돼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 입구에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안내하는 동판이 설치돼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해밀톤호텔 옆 골목을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이라 이름 붙이고, 3개의 빌보드 등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을 뼈대로 한 ‘참사 현장’ 정비 내용을 설명했다. 이들은 “이태원역 1번 출구가 참사의 현장이라는 슬픔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억과 안전의 공간으로 거듭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의견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이곳은 길의 시작을 알리는 표지목과 참사의 의미를 담아 바닥에 새겨진 문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시민들이 남긴 포스트잇, 이태원 참사를 설명하는 3개의 빌보드로 구성돼 있다. 빌보드의 사진 작품과 시민 포스트잇은 2달에 한번 교체할 예정이다.

이정민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은 ‘미완성’이다. 시민들이 이곳에 와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기억하고, 슬퍼하고 함께 해줄 때 그 힘이 희생자들의 명예를 온전히 바로 세우고 진상을 규명하는 기둥이 될 것이다”라며 “길이 ‘완성’될 수 있도록 많은 시민들의 관심과 연대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정민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오른쪽부터)과 권은비 작가 등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형물을 제막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이정민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오른쪽부터)과 권은비 작가 등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형물을 제막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해밀톤호텔 옆 골목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에 설치된 3개의 빌보드. 빌보드의 사진 작품과 시민 포스트잇은 2달에 한번 교체할 예정이다. 김정효 기
해밀톤호텔 옆 골목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에 설치된 3개의 빌보드. 빌보드의 사진 작품과 시민 포스트잇은 2달에 한번 교체할 예정이다. 김정효 기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관계자들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내용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하기에 앞서 희생자들을 위해 묵념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관계자들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내용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하기에 앞서 희생자들을 위해 묵념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정민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 26일 오전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내용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 참석해 이야기한 뒤 눈물을 훔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정민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 26일 오전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내용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 참석해 이야기한 뒤 눈물을 훔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을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이라 이름 붙이고, 3개의 빌보드 등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을 뼈대로 한 ‘참사 현장’ 정비 내용을 기자들에게 설명한 뒤 제막식을 하는 모습을 침통한 표정으로 지켜보고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을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이라 이름 붙이고, 3개의 빌보드 등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을 뼈대로 한 ‘참사 현장’ 정비 내용을 기자들에게 설명한 뒤 제막식을 하는 모습을 침통한 표정으로 지켜보고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부근에 조성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안내 조형물에 기대 슬퍼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부근에 조성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안내 조형물에 기대 슬퍼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 입구에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안내하는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 입구에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안내하는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관계자들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을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형물을 살펴보고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관계자들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을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형물을 살펴보고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3개의 빌보드 중 일부. 김정효 기자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3개의 빌보드 중 일부.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 조성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형물을 살펴본 뒤 골목을 나서고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등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 조성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형물을 살펴본 뒤 골목을 나서고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 보라색 별 모형 전등이 달려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에 보라색 별 모형 전등이 달려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역무원들이 펼침막을 내걸고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역무원들이 펼침막을 내걸고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 입구에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안내하는 동판이 설치돼 있다. 김정효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해밀톤호텔 옆 골목 입구에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안내하는 동판이 설치돼 있다. 김정효 기자

※ 유족 등에 대한 2차 가해 우려로 댓글창을 닫습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양대 교수들도 시국선언 “모든 분야 반동과 퇴행…윤석열 퇴진” [전문] 1.

한양대 교수들도 시국선언 “모든 분야 반동과 퇴행…윤석열 퇴진” [전문]

백종원 선생님 믿고 갔는데 “최악”…우산 쓰고 음식 먹었다 2.

백종원 선생님 믿고 갔는데 “최악”…우산 쓰고 음식 먹었다

9살 손잡고 “떨어지면 편입”…대치동 그 학원 1800명 북새통 3.

9살 손잡고 “떨어지면 편입”…대치동 그 학원 1800명 북새통

[단독] 경찰, ‘윤 퇴진 집회’ 촛불행동 압수수색…회원 명단 포함 4.

[단독] 경찰, ‘윤 퇴진 집회’ 촛불행동 압수수색…회원 명단 포함

세월호 갇힌 이들 구하다 상한 몸, 한국에서 받아주지 않았다니… 5.

세월호 갇힌 이들 구하다 상한 몸, 한국에서 받아주지 않았다니…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