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노숙인 현황
정부·지자체 대책은 재탕·삼탕
서울 지역 노숙인 수는 올해 4월 2800명으로 바닥을 친 뒤 다시 늘어나기 시작해 9월 현재 2929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쉼터가 아닌 거리에서 노숙하는 이들의 수는 4월 486명에서 9월 652명으로 반년 새 25% 이상 증가했다.
노숙인 지원 단체들은 경제위기로 한계선상에 놓인 저소득층들이 거리로 나오는 징후라고 설명한다. ‘다시서기센터’ 현장지원팀 이형운 팀장은 “일용직 일자리를 통해 쪽방 등에서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던 이들이 일용직 일감조차 찾기가 어려워지면서 거리로 나오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노숙인 쉼터와 거리를 오가고 있다는 최아무개(42)씨는 “2005년에 직장을 잃고 고시원에서 살며 노가다 일을 해왔는데 갈수록 빚이 쌓여 올 초에 고시원을 나왔다”고 했다.
거리로 내몰리는 사람들은 많지만 정확한 통계를 잡기는 쉽지 않다. 지난해 서울시의 거리 배식 단속 등의 영향으로 한 곳에서 몰려 지내던 노숙인들이 뿔뿔이 흩어졌기 때문이다. 이 팀장은 “현장에서 체감하기엔 거리 노숙인만 1500명이 넘는 것 같다”며 “요즘은 동네의 작은 공원에도 노숙인들이 모이는데 이들은 통계치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서울역과 남산, 용산 일대 노숙인 수 정도를 파악하고 있을 뿐이다.
노숙인 급증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은 안이하다. 서울시는 지난 10일 노숙인 상담 인력 확대, 응급 구호방 설치, 일거리 제공 등의 대책을 내놨는데, 대부분 몇 년째 겨울만 되면 반복해 온 재탕 삼탕 정책들이다. 지역별 편차도 심하다. 서울시는 노숙인 쉼터에 1500원씩 하루 세 끼의 식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인천시는 1200원씩 하루 두 끼만 지원한다. 인천의 한 노숙인 쉼터 관계자는 “날씨가 추워져 쉼터를 찾는 노숙인이 늘었는데 지원액은 지난해와 똑같다”며 “한 끼에 드는 비용도 실제론 2500원 가량이어서 쉼터 쪽 재정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 지역 노숙인 수는 지난해 말 111명에서 올해 9월 현재 207명으로 갑절 가까이 늘었다. 황춘화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