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비자금 문어발식”
예금보험공사 직원 불러
2002년 매각 경위 물어
예금보험공사 직원 불러
2002년 매각 경위 물어
한화그룹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중인 검찰이 과거 한화의 대한생명 인수 과정과 관련해 예금보험공사 직원을 불러 조사하는 등 수사 범위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압수수색에 이어 한화 핵심 계열사인 대한생명까지 수사 선상에 오른 것이다.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 이원곤)는 지난 29일 예보 팀장급 직원인 진아무개(44)씨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2002년 한화가 대한생명 지분 51%를 매입하는 과정에서 비자금을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진씨 등을 상대로 매각 경위를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1997년 외환위기 당시 공적자금이 투입됐던 한화의 대한생명 인수 자격 심사 과정 등도 살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한화호텔앤드리조트에 이어 대한생명 인수 과정까지 들여다보고 있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번 수사가 그룹 전반에 걸친 비자금 수사로 확대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반대로 수사팀이 그룹 본사 등 핵심 장소를 잇따라 압수수색하고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자 한화그룹을 압박하려는 수단으로 전방위 수사를 벌이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금융당국 조사와 한달간의 대검찰청 내사를 거친 뒤 의욕적으로 진행된 사건이라, 확실한 결과를 내놓지 못하면 검찰로서도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수사 범위가 넓어지고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한화와 검찰 쪽의 장외 신경전도 치열해지고 있다. 한화 쪽은 계열사 추가 수사에 당혹해하면서도 ‘무리한 가지치기 수사’라며 볼멘소리를 내놓고 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30일 “검찰이 왜 한화호텔앤드리조트를 압수수색했는지 그룹 내부에서도 의아해하고 있다”며 “대한생명 인수건은 지난 8년간 법원 1·2·3심과 국제상사중재위원회 심사 등 국내외 판결을 통해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난 사안”이라고 반발했다.
이에 수사팀 관계자는 “수사가 과학화되고 인권을 중시하면서 자백·진술 중심에서 자료·물증 중심으로 바뀌어 시간이 많이 걸릴 수밖에 없다”며 “게다가 차명계좌가 한정돼 있지 않고 비자금이 문어발식으로 퍼져 있어 다 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비자금 조성과 관리에 한화그룹 계열사 여러 곳이 관여한 혐의를 확인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