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5일 숨진 안현태씨
보훈처, 결정 하룻만에 현충원행
장세동 등 5공 인사들도 참석
민주당 “청와대 개입 밝혀야”
장세동 등 5공 인사들도 참석
민주당 “청와대 개입 밝혀야”
시민단체와 야당의 반대 속에서 안현태 전 청와대 경호실장의 국립묘지 안장이 결정된 지 하루 만에 안씨의 유해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한겨레> 8월6일치 1면 참조) 시민단체와 야당은 ‘민주역사에 대한 테러’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6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2묘역에서 안씨 유족과 지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유해 안장식이 열렸다. 이날 안장식에는 장세동 전 국가안전기획부장 등 5공 출신 인사들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5일 국가보훈처 국립묘지안장대상심의위원회(위원장 우무석 국가보훈처 차장)는 일부 심의위원들이 서면심의에 반발하며 위원직 사퇴 뜻을 밝힌 가운데 표결 처리를 강행해 안씨의 국립묘지 안장을 의결했다.
보훈처에 결정 철회를 요구해온 이용섭 민주당 대변인은 7일 브리핑에서 “천박한 역사관을 가진 이명박 정부가 기어이 민주역사에 테러를 가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정권 탈취를 위해 민주시민들에게 총칼을 들이댄 군사 쿠데타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민주화 운동을 모독한 것이고 국립묘지에 안장되신 국가유공자들에 대한 씻을 수 없는 모욕”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청와대 관계자가 일부 민간위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안씨의 국립묘지 안장 찬성을 종용하는 등 정권 차원에서 개입한 것은 큰 문제”라며 “청와대는 해당 당사자가 누구인지 명백히 밝히라”고 요구했다.
송선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안장 결정이 난 지 하루도 지나기 전에 군사기밀작전 하듯이 비밀리에 안장하는 것을 보니 씁쓸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5·18기념재단은 △안씨의 기습 안장을 무효화하기 위한 행정소송 △권위주의 정부의 중대 인권침해 관련자 및 권력형 비리사건 연루자 등의 국립묘지 안장을 금지하는 법률 제정 청원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등 5공비리 인사의 국립묘지 안장에 반대하는 전국적 서명운동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 전주/전진식 박임근 이지은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