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들 로비정황도 포착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단장 최운식)은 지난 6일 영업정지된 4개 저축은행의 일부 대주주와 경영진이 퇴출을 막기 위해 정·관계에 금품 로비를 벌인 단서를 잡고 수사중이다. 합수단은 7일 영업정지 조처를 앞두고 회삿돈 수백억원을 인출하고 여러 건의 부실대출을 해준 혐의(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의 횡령·배임)로 미래저축은행 김찬경(55) 회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한편, 솔로몬·미래·한국·한주저축은행 대주주와 경영진의 집, 저축은행 본점과 주요 지점 사무실 등 30여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에 영업정지된 저축은행 중 일부가 지난해 9월 저축은행 2차 구조조정 이후 퇴출을 피하고 매각을 서두르면서 정·관계 로비를 벌인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한 차례 적기시정조치(부실 금융기관에 대해 금융당국이 내리는 경영개선 조처) 유예가 결정된 저축은행들이, 경영 정상화가 여의치 않자 이후 영업정지를 막기 위해 필사적으로 로비를 벌인 단서를 포착했다는 것이다.
합수단은 우선 밀항을 하다 체포된 미래저축은행 김 회장이 횡령한 돈의 사용처를 추궁할 계획이다. 합수단은 김 회장이 밀항 직전 은행 영업자본금 200억원을 인출한 것 이외에, 영업정지 조처가 임박한 지난달 말 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대기업 주식 20만주를 빼낸 사실도 확인했다. 김 회장은 사채업자에게 이 주식을 담보로 제공하고 270억원을 받은 뒤 190억원을 챙기고 사채업자에게 수수료 명목으로 80억원을 건넨 것으로 드러났다. 합수단은 또 김 회장의 밀항과 돈세탁을 도운 혐의로 김 회장의 운전기사 최아무개씨도 구속했다.
황춘화 김태규 기자 sflower@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8명 집어삼킨 노래방 화재…비상구에 ‘1번방’
■ 이정희-유시민 ‘갈등본색’
■ 안전 장담하더니 ‘광우병 토론 불참’ 문자만 ‘달랑’
■ 미군, 부인과 화상통화 중 ‘원인불명 사망’
■ MBC 파업 100일째…“이젠 낙하산 보낸 정권과도 투쟁”
■ 8명 집어삼킨 노래방 화재…비상구에 ‘1번방’
■ 이정희-유시민 ‘갈등본색’
■ 안전 장담하더니 ‘광우병 토론 불참’ 문자만 ‘달랑’
■ 미군, 부인과 화상통화 중 ‘원인불명 사망’
■ MBC 파업 100일째…“이젠 낙하산 보낸 정권과도 투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