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하루 앞둔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회원들이 김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자 오늘 청문회
| |
부동산 의혹만 10개 넘고
천안함 사건 다음날 ‘골프’
연평도 피격땐 ‘일본 관광’
“군 자살은 개인문제” 설화까지
여당서도 “스스로 용퇴해야” 김병관(65)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박근혜 대통령의 지명을 받은 지 20일이 지났다. 국회는 진통 끝에 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8일 열기로 했지만, 지금까지 거론된 비위 사실과 의혹이 모두 33가지로 지난달 낙마한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를 넘어선다. 역대 인사청문회 사상 최대의 의혹을 품은 김 후보자가 국회 검증을 통과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외국 무기 중개업체 로비스트 활동 의혹 이번 인사청문회에서 가장 큰 쟁점은 외국 무기 중개상에서 일한 김 후보자가 국방부 장관으로서 적합한 인물이냐는 점이다. 민주통합당뿐만 아니라 새누리당 상당수 의원들도 10조원이 넘는 무기 구입을 총괄해야 하는 국방부 장관으로서 외국 무기 중개상 근무 이력은 부적격 사유라는 데 의견을 함께한다. 가장 큰 이유는 군 최고 계급인 대장으로 전역한 예비역 장성이 무기중개상의 비상근 고문을 했다는 것 자체가 명예롭지 못한 일이라 군의 사기를 떨어뜨리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주로 로비스트 역할을 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국회부의장을 지낸 정의화 새누리당 의원은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것은 만고의 진리”라며 “스스로 용퇴해 박근혜 정부가 순항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군 내부 정보를 이용해 재산을 불렸다는 의혹도 풀어야 한다. 김 후보자는 1985년 9사단 포병대대장으로 근무하면서 부대 인근 군사시설보호구역 땅을 400여만원에 샀다. 2년 뒤 9사단 작전지역이 축소되면서 군사시설보호구역 제한이 해제되거나 완화됐다. 보호구역 해제 업무는 9사단 작전처가 전담했다. 김 후보자는 1982년부터 1986년까지 9사단에서 근무하면서 작전처 보좌관, 작전과장, 포병대대장, 정보처 정보참모 등을 지냈다. 1989년 4월 일산신도시 건설 계획까지 발표되면서 이곳 땅값은 수직상승했다. 김 후보자는 1991년 이 땅을 1억3000만원에 판 것으로 알려졌다. 6년 만에 30배나 오른 셈이다. 김 후보자는 “아내가 나중에 집 짓고 살기 좋은 곳이라 생각해 샀던 것이다. 운이 좋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사전에 (개발) 정보를 얻은 것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당시 이 땅의 지목은 밭이어서 집을 지으려 했다는 해명으로는 의혹이 풀리지 않는다. 부인이 군납업체 비츠로셀의 주식 1000주를 보유하고 있는 점도 입길에 올랐다. 김 후보자는 2001년 합참 전력기획부장을 맡아 군 무기체계 업무를 총괄했고, 비츠로셀의 신사업 부문인 신형 포탄도 김 후보자의 전문 분야다. ■ 의심스런 안보관 군 통수권자로서 필수 덕목인 안보관을 의심하게 하는 처신도 쉽게 넘기기 어려운 대목이다. 2010년 천안함 사건 다음날 골프를 치고, 연평도 포격 사건 다음날에는 일본으로 온천관광을 가는 등 연이어 터져나온 부적절한 행동에 대해 안규백 민주통합당 의원은 “국가안보가 위중한 상황에서 신중치 못한 행동이다. 안보 개념이 전혀 없는 게 아닌가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현역 때나 예편 뒤의 언행도 문제다. ‘연천 총기난사 사건’이 있었던 2005년 1군사령관이었던 김 후보자는 군대 내 자살에 대해 “개인의 문제”, “죽을 만한 요인을 가진 사람의 문제”라고 했고, 2010년 한 강연에서는 “좌편향 교육을 받은 젊은이들이 대부분”이라는 발언을 했다. 장병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군 사고 예방 및 복지에 관심을 기울이고 정치적 중립을 엄격히 지켜야 하는 고위 장성의 언행이라고 할 수 없다. ■ 부동산 관련 의혹만 10여가지 재산 형성 과정에서의 의혹은 청문회 사상 가장 많은 사례 수를 기록하고 있다. 아파트 부담부 증여, 다운계약서, 위장전입, 투기 등 부동산과 관련된 의혹만 10여가지에 이른다. 2사단장 재직 시절 공사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의혹 등과 관련해선 여야 합의로 당시 사단 참모장이었던 조정환 현 육군참모총장이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됐다. 육군참모총장이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된 것은 사상 처음이다. 하어영 김원철 기자 haha@hani.co.kr ‘무서운 대통령’, 정치가 사라졌다 [한겨레캐스트 #51]
![](http://img.hani.co.kr/section-image/12/news/hani/images/com/ico/ico_movie.gif)
■ 박 대통령 조찬기도회…“정치지도자들 사심” 또 야당 압박
■ 희망도시 구미, 사고도시로 전락…왜?
■ “세금 내기 싫어” 위장 이혼하는 중국 부부들
■ 초등생 책가방이 20만원…그래도 ‘불티’
■ 자동차 에어백 믿었다간 큰코다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