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상삼리에 있는 기독교복음침례회의 수련원으로 알려진 ‘금수원’ 안에 지하철 폐 객차 여러 대가 놓여 있다. 금수원은 축산업과 원예업을 하는 유기농 농장으로 등록하고 기차칸을 ‘화물 적치’ 용도로 쓴다고 일시 사용 허가를 받았다. 안성/뉴스1
유 회장 일가 재산 2400억대 파악
차명관리 많아 규명엔 난제 여전
횡령·탈세 압박 ‘자진납부’ 유도
한국선급 본사 다시 압수수색
차명관리 많아 규명엔 난제 여전
횡령·탈세 압박 ‘자진납부’ 유도
한국선급 본사 다시 압수수색
인천지검 특별수사팀(팀장 김회종)이 수사팀을 꾸린 지 닷새만인 25일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의 핵심 측근과 자녀들에 대한 소환 조사에 착수하면서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수사는 유 전 회장 일가의 은닉 재산을 추적하는 한편, 횡령 등 불법 혐의를 찾아내 세월호 침몰사고의 피해 회복을 위해 재산을 ‘자진 납부’하도록 압박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수사팀의 우선 관심은 유 전 회장 일가가 숨겨 놓은 ‘재산 찾기’다. 검찰은 유 전 회장 일가 재산이 지금까지 파악한 규모만 2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측근을 계열사 주주로 내세워 소유하거나 다른 사람 또는 법인 명의로 관리하고 있는 국내·외 부동산 등을 합하면 전체 재산 규모는 3000억원을 훨씬 웃돌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유 전 회장 명의로 된 재산이 거의 없고 차명관리 의혹이 있는 재산이 많아 수사팀으로선 유 전 회장 일가의 전체 재산 규모의 퍼즐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수사 범위를 제한하지 않겠다고 했으나 사실상 ‘별건수사’에 해당하는 유 전 회장 수사를 오랫동안 붙들고 있기도 부담스럽다. 수사팀이 지난 24일 이례적으로 금융감독원(횡령·배임·계열사 불법대출)과 국세청(탈세·은닉재산 추적), 관세청(국외재산 추적, 역외탈세)에 전문성을 띈 업무를 배분하고 자신들은 수사를 총괄하겠다고 밝힌 데서는 이런 다급한 속내가 읽힌다.
수사팀은 유 전 회장 일가의 은닉·차명재산 규모를 밝혀낸 뒤 수사과정에서 확인된 횡령·배임·탈세 등의 혐의로 피해 회복에 쓰일 돈을 ‘자진 납부’하도록 유 전 회장 쪽을 압박하겠다는 계산을 하고 있다. 피해자들이 낼 손해배상소송이나 정부의 구상권 행사에 대비해 수사팀이 ‘재원’을 추려놓는다고 해도 유 전 회장 쪽이 스스로 내겠다는 의사가 없을 경우 이를 강제할 마땅한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유 전 회장 쪽은 “전 재산이 100억원이며 이를 위로금으로 내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져, 이번 사고의 심각성을 모르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범죄를 인지해 혐의에 맞게 처벌하는 통상 수사와는 좀 다르게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선박검사와 인·허가 비리와 관련해 한국선급을 수사하고 있는 부산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흥준)은 전날에 이어 이날 다시 부산 강서구 한국선급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수사팀은 한국선급 전·현 임직원들이 ‘을’의 위치에 있는 해운업계와 선박회사들로부터 뒷돈을 받았는지, 비자금을 조성해 정치권과 정부 고위직에 상납을 하며 인사 청탁를 하거나 업무 편의 제공을 요청했는지 수사하고 있다.
인천 부산/김정필 김광수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