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장재연 공동대표
‘하이닉스 백혈병’ 검증위 대표에
환경운동연합 장재연 공동대표
환경운동연합 장재연 공동대표
에스케이(SK)하이닉스가 반도체 직업병 실태조사 및 피해자 보상대책 마련을 위해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인 장재연 아주대 교수(사진)를 위원장으로 한 ‘산업보건검증위원회’ 운영안을 14일 내놓았다. <한겨레>가 하이닉스 노동자들의 백혈병 등 ‘반도체 직업병’문제를 공론화(‘또 하나의 비극, 하이닉스’, <한겨레> 7월28일치 1면)한 뒤, 사측이 두달 여에 걸쳐 마련한 해법이다.
일체의 조사 및 보상 권한을 위임받은 위원회를 이끌 장 교수(예방의학교실)는 환경운동연합, 환경재단, 시민환경연구소 등에서 활동해온 ‘환경보건 전문가 1세대’다. 삼성전자 백혈병 논란 등 반도체 직업병을 줄곧 연구해온 가톨릭대 김형렬 교수(보건대학원)·이혜은 교수(직업환경의학), 박동욱 한국방송통신대 교수(환경보건학), 여성 노동권을 살필 강희영 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 등 모두 7명의 민간위원이 위원회를 구성한다. 장 교수는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회사가 부담돼서 수용못할 정도의 분들로 위원을 선정하고자 했다”며 “객관적 검증을 막는 모든 외부 영향을 차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원회 구성 기준은?
=위원회 활동이 신뢰를 받으려면 투명성과 객관성이 담보돼야 한다. 모두 산업보건 전문가들로, 노동계도 신뢰할 수 있는 분들이라고 생각한다.
-위원회의 권한은?
=이천·청주공장 내부의 유해화학물질 및 작업환경을 실태조사한다. 회사는 5~6개월을 제안했으나, (위원회 결정으로) 1년을 조사기간으로 잡았다. 동시에 회사는 12월중 ‘건강지킴이 콜센터’를 열어 전현직 임직원들로부터 건강 상담 및 피해사례를 접수받는데, 이들에 대한 치료비, 위로금 등 보상 대책을 위원회가 결정한다. 결정 사항은 모두 공개한다.
-협력사 임직원도 보상 대상인가?
=본사 직원과 마찬가지로, 건강검진 항목에 1급 발암성 병원체, 암유전자 검사 등 10여종의 암 건진 항목을 추가 적용해 내년부터 실시할 계획이다. 하지만 보상 대상에 포함할지는 법률 검토가 필요하다. 사측과의 논의를 거쳐 차근차근 풀어갈 생각이다.
-피해 보상 기준은 무엇인가?
=일단 위원회의 보상은 현행 산재보험과는 달라야 한다. 산재 제도처럼 운영할 거라면 위원회를 꾸릴 이유가 없다.
-회사 쪽과 마찰이 불가피하지 않겠는가.
=회사가 위원회의 독립적인 활동을 보장한다고 약속했다. 부당한 개입을 하려고 한다면 다수의 민간위원들이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 은수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등 국회나 노동계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장 교수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삼성전자와 피해 노동자간 협상 과정에 대한 평가는 애써 마다했다. 하지만 회사는 이번 대책을 계기로 ‘산업현장의 미래지향적 모범사례’를 만들겠다며 사실상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오승훈 기자 vi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