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대학생 1000여명 뭉쳐
‘10대 법안’ 제안 기자회견
“재벌살리기 법안 지원하는
박 대통령 서명운동에 맞서
10만 서명운동 시작” 밝혀
총선 후보들에게 입장 묻기로
‘10대 법안’ 제안 기자회견
“재벌살리기 법안 지원하는
박 대통령 서명운동에 맞서
10만 서명운동 시작” 밝혀
총선 후보들에게 입장 묻기로
가톨릭대 3학년 이가현(23)씨는 대학에 입학한 이후 아르바이트를 쉬어본 적이 없다. 지금도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에서 최저시급인 6030원을 받으며 하루 6시간씩 주 5일을 일해 월 60여만원을 벌고 있다. 월세 25만원과 통신비·교통비 10만원을 내고 나머지 돈으로 한 달 생활을 하려면 4000원짜리 밥 한 끼 앞에서도 벌벌 떨게 된다. 지난해에는 생활비를 벌기 위해 1년 동안 휴학을 했다. 일하느라 바빠 취업 준비는 언감생심이다. “최저시급이 딱 1만원이었으면 좋겠어요. 그럼 일하는 시간을 줄여 취업 준비랑 학과 공부에 좀 더 충실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씨의 소원은 “조금만 더 인간답게 사는 것”이다.
경희대 2학년 한아무개(21)씨 사정도 이씨와 별반 다르지 않다. 등록금과 생활비를 직접 벌어야 하는 처지인 한씨는 일주일 내내 패스트푸드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해 한 달에 80만원을 손에 쥔다. 한씨의 집은 인천이다. 통학하는 데 교통비로 들어가는 돈만 다달이 12만원이다. “돈이 아까워 아예 학교 동아리방에서 생활하곤 해요.” 한씨의 바람은 “교통비가 좀 줄었으면” 하는 것이다.
대학원생 송아무개(29)씨는 하루에 4시간씩 과외와 학원강습 아르바이트를 한다. 장학금을 받으려면 연구 프로젝트에도 참여해야 한다. 최우선이 돼야 할 공부가 후순위로 밀리는 생활의 반복이다. “청년수당 대상자를 확대해주면 안 될까요. 생활비를 벌기 위한 시간이 줄어들면 지금 하고 있는 연구와 향후 취업 준비 등에 더 몰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박근혜 대통령이 청년과 장년 등 ‘민생 구하기’ 법안이라며 서비스산업발전법 등의 입법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나서자, 청년들이 ‘진짜’ 청년을 살리기 위한 ‘10대 법안’을 직접 제안하고 나섰다.
청년·대학생 1000여명이 모인 네트워크 단체 ‘헬조선을 구하라, 청년혁명’(청년혁명)은 28일 오전 서울 국회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청년 살리기 10대 법안 10만 서명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들이 내놓은 청년 살리기 법안엔 △재벌의 사내유보금에 청년고용세 부과 △최저시급 1만원 보장 △교통·통신비 등의 공공요금 할인 △청년수당 대상·연령 확대와 지급 형태의 다양화 등이 포함돼 있다. 청년혁명은 이 법안 제정을 위한 10만 서명운동에 나서는 한편, 총선에 출마하는 각 정당 후보들에게 이 법안들에 대한 입장을 물은 뒤 답변을 받아 공개해 투표의 근거로 삼을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청년혁명에 참여하고 있는 유지훈(34) ‘청년하다’ 대표는 “하루에 6명의 청년이 목숨을 끊는 나라에서 더 이상 청년들의 죽음은 개인의 자살이 아닌 사회적 타살”이라며 “질 낮은 일자리만 양산하며 의료 및 교육 등 공익의 목적을 위한 규제는 완화하겠다는 재벌 살리기 법안에 대한 박 대통령의 서명운동에 맞서 청년들이 직접 ‘청년 살리기’ 서명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남 권승록 기자 3string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