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사회복지기관의 운영에 큰 영향을 끼치는 모금이 극소수 대형 기관에 집중적으로 쏠리는 ‘모금액 싹쓸이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 기관이 전체 모금액의 77.3%를 차지했다.
31일 고경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이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 최신호에 실은 연구보고서 ‘사회복지분야 민간모금기관간 모금액 격차 현황과 과제 ’를 보면, 2015년 국세청 홈텍스 등에 공시된 사회복지법인 1485곳의 2014년 모금총액은 1조 770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들 기관의 모금은 기업·단체 기부금이 가장 많아 47.4%에 이르렀고, 개인기부 32.1%, 기타 기부금 9.7% 순이었다.
전체 기관 중 100억원 이상을 모금한 기관은 18곳인데, 모금액은 1.36조원이었다. 상위 1.2%의 모금기관이 전체 모금액의 77,3%를 모금한 것이다. 나머지 99%의 모금기관 1467곳의 모금액은 전체의 22.7%인 4025억원 이었다. 특히 하위 64.6%에 해당하는 959개 기관의 모금액을 다 합해도 전체모금액의 1%인 177억원에 그쳐, 모금이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대형 복지기관에 쏠리고 있음이 극명하게 나타났다.
이런 현상의 원인에 대해 고 연구위원은 “대형 복지기관들은 전담인력이 있고 모금의 전문성과 시민들의 신뢰도 높아 기업과 개인들한테서 모금이 비교적 순조롭지만, 영세단체 및 법인들은 열에 여덟 곳이 전담부서는 고사하고 전담인력도 없어 모금이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고 연구위원은 “이런 소수 기관의 복지자원 독점현상은 지역 특성을 반영한 복지사업의 독창성을 저해하고, 주민들의 갖가지 욕구와 현안을 해결하는 복지주체의 다양화에도 걸림돌”이라고 지적하며 지역단위의 공동모금시스템 구축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영세기관들이 모금 전담 인력이나 부서를 독자적으로 꾸리기 어렵기 때문에 지역 단위의 공동모금시스템을 통해 대응하자는 방안이다. 고 연구위원은 이와함께 “국가 차원에서 기부자와 서비스공급자 간 정보공유가 원활히 이루지도록 하는 지원체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창곤 선임기자go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