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대 먹거리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
3대 암 5년 생존율 6% 증가도 기대
유전체 정보로 맞춤형 항암진단법 개발
정밀의료센터 설치·건강관리 모바일기기 개발
의료영리화, 개인정보 보호 논란도
3대 암 5년 생존율 6% 증가도 기대
유전체 정보로 맞춤형 항암진단법 개발
정밀의료센터 설치·건강관리 모바일기기 개발
의료영리화, 개인정보 보호 논란도
정부가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 추진하겠다고 밝힌 1조6천억원의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로 정밀의료를 내세웠다. 정밀의료는 유전체 정보, 진료·임상정보, 생활습관정보 등을 통합 분석해 환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가리킨다.
보건복지부는 10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 과학기술전략회의를 통해 발표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 하나인 정밀의료와 관련해 별도 자료를 내어 구체적인 추진 방향과 계획을 밝혔다.
복지부는 우선 “정밀의료 기술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최소 10만명의 유전정보와 진료정보, 생활환경·습관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축적하는 ‘정밀의료 코호트’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병원에서 정밀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차세대 병원 의료정보시스템도 개발한다.
이와 함께 폐암·위암·대장암 등 한국인 3대 암 환자 1만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해 맞춤형 항암 진단 치료법을 개발하는 한편 인터넷, 스마트폰 등 디지털 도구에 적응력이 강한 50~60대 인구를 뜻하는 ‘디지털 시니어스(신고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만성질환 건강관리서비스프로그램 및 첨단 모바일 기기도 개발키로 했다.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의사의 진단 및 치료를 지원하는 인공지능 진단·치료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복지부는 나아가 정밀의료 기술이 원활히 개발될 수 있도록 하는 정밀의료지원센터를 신설하고 이들 기술이 해외 신시장을 적극 공략할 수 있도록 재정과 금융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법적 지원체계인 정밀의료 특별법도 제정하며, 정밀의료 전문가를 양성하는 특성화대학원도 설립할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런 정밀의료 기술 개발을 통해 2025년에는 현재 73살인 건강수명을 76살로 3년 더 늘릴 수 있고, 해마다 평균 8%로 늘어가는 의료비 증가율도 4%로 낮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또 “3대 암의 5년 생존율도 현재 8.4%에서 6% 더 높여 2025년에는 14.4%에 이를 것으로 기대한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향후 147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세계 정밀의료시장의 7%를 점유하는 한편 이 과정에서 10조3천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약 12만명의 고용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하지만 원격의료나 해외진출 시 자금을 지원하는 것 등에 대해 시민단체나 야당이 의료영리화 가능성,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을 제기할 수 있어 향후 추진과정에서 논란도 예상된다.
이창곤 선임기자 go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