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뉴스룸 토크] 제주&유커&济州&

등록 2016-09-13 18:15수정 2016-09-13 21:04

지난 9월7일 첫 호를 발행한 월간 섹션신문 <&#27982;州&> 1면.
지난 9월7일 첫 호를 발행한 월간 섹션신문 <济州&> 1면.
성산 일출봉에 올랐다. 무엇이 들렸을까. 바람 소리? 중국어만 들렸단다. 유커(중국인 여행객)들이 제주에 몰려든다. 한국인들도 여전히 제주를 사랑한다. 지난 7일 한겨레가 첫 호를 발행한 월간 섹션신문 <济州&>(제주&)은 유커와 국내 독자를 동시 겨냥했다. 올해 1월4일부터 서비스 중인 중국어판 책임자인 박영률 기자는 <济州&>의 산파이자 편집자다.

-유커들이 그렇게 많이 와요?

“제주관광공사 자료에 따르면 2011년 50만명, 올해는 300만명 예상. 5년 새 6배 늘었죠. 외국인 관광객 중 85.3%가 중국인.”

-제주를 왜 좋아한대요?

“단기관광객한테는 입국 비자가 면제돼요. 하이난보다 제주가 더 가까운 중국인들 많고요. ‘황해’처럼 혼탁하지 않은 청정한 바다가 좋대요. 아기자기하게 볼 곳도 많고.”

-‘싼커’ 비율이 높아졌다면서요.

“싼커란 자유여행객 말하죠. 흩어질 싼(散). 2013년 전체 유커 중 17.3%에서 2015년 38.3%. 이들은 중국 자본이나 역외 대기업 소유의 호텔단지 대신 게스트하우스를 찾고 재래시장과 편의점을 이용한대요. 체류 기간 길고. 제주 지역경제에 실질적 도움 주는 거죠.”

-한국인들에게 제주란?

“국민적 안식처! 요즘 올레길 중심으로 구석구석 예쁜 카페와 재밌는 박물관들이 생겨나고 있어요.”

-현지 주민들과 유커랑 사이가 좋나요?

“유커는 시끄럽고 쓰레기 잘 버린다, 제주인은 불친절하다는 선입견이 서로 있었죠. 상호 간 배타적 문화가 사라지고 있어요.”

-<济州&>은 왜 만들었죠?

“제주에 오는 유커들에게 고급 정보를 주려고 해요. 그게 국내 독자들한테도 유용하죠. 그래서 중국어와 한글을 함께 넣었어요.”

고경태 신문부문장 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이재명 ‘위헌법률심판 제청’ 선거법 재판부 “예정대로 2월 말 결심” 1.

이재명 ‘위헌법률심판 제청’ 선거법 재판부 “예정대로 2월 말 결심”

[단독] ‘체포 시도’ 여인형 메모에 ‘디올백 최재영’ 있었다 2.

[단독] ‘체포 시도’ 여인형 메모에 ‘디올백 최재영’ 있었다

[단독] 여인형, 계엄해제 전 “자료 잘 지우라”…불법인지 정황 3.

[단독] 여인형, 계엄해제 전 “자료 잘 지우라”…불법인지 정황

[단독] 대답하라고 ‘악쓴’ 윤석열…“총 쏴서라도 끌어낼 수 있나? 어? 어?” 4.

[단독] 대답하라고 ‘악쓴’ 윤석열…“총 쏴서라도 끌어낼 수 있나? 어? 어?”

“급한 일 해결” 이진숙, 방송장악 재개?…MBC 등 재허가 앞둬 5.

“급한 일 해결” 이진숙, 방송장악 재개?…MBC 등 재허가 앞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