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총학생회와 학생들이 8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행정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근혜 정권이 간택한 성낙인 총장을 거부한다”고 밝히고 있다.
서울대 총학생회와 학생들이 성낙인 총장 거부 선언에 나섰다.
이들은 8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낙인 총장 선출 당시 청와대가 이 과정에 개입한 의혹이 언론을 통해 나왔다”며 “박근혜 정권이 간택한 성 총장이 서울대에서 폭정을 휘두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수빈 서울대 부총학생회장은 “학내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구성원 의견을 귀담아듣지 않는 성 총장은 구성원들 앞에서 해명하고 명백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지난 1일 시작한 총장 불신임 운동을 이어가고, 박근혜 정부가 총장 선출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진 국립대학들과 연대하기로 했다.
이날 <한겨레>는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업무일지 2014년 6월15일치를 보면, 서울대 이사회가 예정된 19일을 언급하며 ‘서울대 총장 逆任(역임·거슬러 임명함)'이라고 적혀 있다”고 보도했다.
<한겨레>가 유족의 동의를 얻어 입수한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업무일지(비망록) 2014년 6월15일에 적힌 메모. ‘서울대총장 逆任(역임·거슬러 임명함)’으로 보이는 글귀가 적혀 있다.
청와대가 서울대 총장 선출에 관여했거나, 최소한 이사들의 표 성향을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서울대 이사회는 총장추천위원회 2순위 후보자였던 성 교수를 총장으로 선출해 논란을 빚었다. 박근혜 정부 들어 경북대, 한국방송통신대, 순천대 등 국립대에서 자체적으로 낙점한 총장 후보자들이 아무런 이유를 듣지 못한 채 총장에 임명되지 못하면서 공석 사태가 잇따랐다. 그러나 성 교수는 이사회 선출 한 달 뒤인 2014년 7월18일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았다.
이에 대해 성낙인 총장은 “단순히 일정을 표기한 것에 불과하다”며 “해당 글자는 사전에도 없는 ‘逆任’(역임)이 아니라 ‘選任’(선임)이다. 법학자나 법조인들이 일반적으로 ‘選’(선)자를 그렇게 쓴다”고 반박했다. 이어 “서울대 각 단과대학을 대표하는 교수와 외부인사 30명으로 구성된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 1차 평가(12명의 예비후보를 5명으로 압축)에서는 내가 압도적인 1위였다. 규정상 1차 평가점수를 배제하고 2, 3차 평가점수만 포함하기 때문에 최종 2순위가 된 것이다. 이사회에 3명의 후보가 올라간 뒤엔 순위 의미가 없어진다. 제로베이스에서 이사들이 자율적으로 무기명 비밀 투표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순위가 바뀌어서 내가 총장이 됐다고 하는 건 틀린 말“이라고 말했다. 김규남 박수진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