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진돗개 ‘새롬이’와 ‘희망이’가 2013년 봄 청와대 안뜰에서 놀고 있다. 청와대 제공
청와대에 남겨진 박근혜 전 대통령의 반려견 ‘새롬이·희망이’ 가족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박 전 대통령은 지난 1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자택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새롬이·희망이’ 가족 9마리를 데리고 가지 않았다. 동물보호단체는 “반려견 유기”라고 주장했고, 부산의 한 단체는 박 전 대통령을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고발까지 했다. 청와대는 ‘반려견을 분양하는 방법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동물권단체 ‘케어’는 12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주인이 나가버린 청와대에 남아 있는 진돗개들의 입양을 돕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케어는 “대한민국의 유기동물 수는 매년 8만~9만 마리에 이르며 연간 100억원의 사회적 비용이 쓰인다”며 “한 국가의 원수였던 분께서 직접 입양하고 번식했던 진돗개 9마리를 책임지지 않고 포기하는 것은 유기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진돗개들이 무분별하게 입양을 가서 불행한 삶을 살거나 지자체 보호소로 가지 않도록 돕고 싶다. 국내에서 대형견을 기를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아 방치·유기되는 일도 많으며 수많은 진돗개가 개고기로 도축되고 있다. 국가 원수의 개들마저 이런 신세로 전락한다면 대한민국의 국격과 이미지는 심대히 훼손될 것”이라며 청와대 쪽에 진돗개 입양을 고려해달라고 부탁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부산지역 동물보호단체인 ‘부산동물학대방지연합’은 13일 국민신문고에 글을 올려 “자신의 처지에 따라 키우던 반려동물을 무더기로 버리고 간 혐의는 명백한 유기”라며 박 전 대통령을 동물 유기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박 전 대통령과 ‘유기견’ 인연은 깊다. 대선이 있던 2012년,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 후보는 ‘동물 정책’에 대한 시민단체의 정책 질의서에 “유기동물을 직접 청와대에 입양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2013년 대통령 취임 당시 삼성동 이웃 주민들로부터 진돗개 ‘희망이’, ‘새롬이’를 선물 받으면서 ‘청와대 유기견 입양’ 공약은 물거품이 됐다.
청와대는 반려견 분양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13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공고를 내는 등 적절한 분양 방법을 찾고 있다. 진돗개 혈통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고한솔 남종영 최혜정 기자
so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