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20일 강원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춘천지검 청사 앞에서 대규모 부정청탁·채용 비리 의혹이 일고 있는 강원랜드에 대한 성역 없는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이 ‘강원랜드 채용비리 수사단’을 구성한 지 하루 만인 7일 ‘쟁쟁한’ 특별수사통들로 수사팀을 꾸려 사실상 전면 재수사에 착수했다. 대검찰청 산하 검찰개혁위원회(위원장 송두환)도 수사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에 대해 철저한 수사를 검찰에 요청했다.
전날 문무일 검찰총장의 지시로 ‘강원랜드 채용비리 수사단’ 단장에 임명된 양부남 광주지검장은 이날 사무실이 차려진 서울북부지검으로 떠나기에 앞서 광주지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체의 고려 없이 원칙적으로 수사해 국민의 의혹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수사단 구성을 일임받은 양 단장은 인선 기준을 묻는 기자들 질문에 “좌고우면하지 않고 사실을 밝힐 수 있는 검사와 수사관을 발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 단장은 곧이어 수사단 부단장에 황의수(56·사법연수원 25기) 부산지검 서부지청장, 수사 실무를 총괄·지휘할 팀장에 김양수(50·연수원 29기) 서울중앙지검 조사2부장을 차출했다. 양 단장과 황 부단장, 김 팀장 등 3명은 검찰 안에서 대표적인 특수통으로 꼽힌다. 애초 강력 쪽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양 단장은 2003년 대검 중수부 불법 대선자금 수사 때 파견검사로 참여한 뒤 2009년 방위산업비리 수사, 2014년 원전비리 수사 등을 거치며 탄탄한 경력을 쌓아왔다. 황의수 부단장은 부산·인천 특수부장과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장을 거쳤다. 특수통으로 꼽히는 김 팀장은 2013년 ‘전두환 일가 미납 추징금' 특별환수팀에서 일했다.
양 단장이 꾸린 수사팀을 두고 검찰 안에서는 사실상 ‘전면 재수사’를 위한 포석이라는 평이 나온다. 검찰 관계자는 “지휘부가 감찰이 아니라 수사를 택한 것은 ‘외압’ 의혹의 실체를 밝혀 이 상황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며 “양 단장 이하 면면이 최선의 인선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개혁위는 이날 입장문을 내어 “검찰은 ‘강원랜드 채용비리 관련 수사단'을 통해 관련자의 신분 또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철저히 수사해 채용비리 및 관련 외압 의혹을 규명하고, 이와 관련된 정치적 중립성·공정성 논란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면서 “안미현 검사가 이번 의혹을 제기한 것과 관련해 불합리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