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161개 시민단체가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아시아나항공 하청노동자들의 해고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공공운수노조 제공
“비행기가 많은 날은 점심시간이 미뤄져 배가 고파 아우성을 칠 정도로 바빴어요. 승객들 내리는 시간 10분 정도만 잠깐 쉴까, 온종일 일했어요. 그런데 갑자기 비행기가 줄었다며 무조건 무급휴직을 하거나 희망퇴직을 하라고 하니, 한달 벌어 겨우 먹고사는 처지에 받아들일 수 있었겠어요?”
김계월씨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는 지난 5월11일 해고되기 전까지, 꼬박 6년 동안 아시아나항공 지상조업 재하청업체 ‘아시아나케이오(KO)’ 소속으로 비행기의 객실 청소를 해왔다. 무급휴직도 희망퇴직도 거부한 김씨는 지난달 11일 다른 노동자 7명과 함께 결국 해고됐다. 아시아나케이오는 ‘코로나19 해고 1호 사업장’으로 꼽힌다.
코로나19로 여행객이 급감하면서 항공업체 전체가 위기를 겪고 있지만, 해고나 무기한 무급휴직 같은 ‘험악한’ 고용 충격은 하청업체 노동자들한테 더 집중된다. 정부 지원이 대기업인 원청업체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데다, 이 업체처럼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하지 않고 무급휴직을 실시해도 딱히 제재할 방법이 없는 탓이다. 또 다른 해고자인 김정남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아시아나케이오지부장은 “직원 대부분이 최저임금 수준인 월 200만원 정도를 받는다. 정부에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하면 회사는 한달에 1억원도 안 되는 돈으로 유급휴직을 시킬 수 있는데, 그 돈을 못 주겠다고 사람들을 해고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정부가 휴직급여의 90%를 지원하는 고용유지지원금 신청을 거부하며 지난 4월 직원 500여명 가운데 120여명에게 희망퇴직 동의서를 받았고, 지난달부터는 200명이 무기한 무급휴직에 들어갔다. 이를 거부한 8명은 해고됐고, 160명만 현재 정상적인 업무를 하고 있다. 이런 대응은 대한항공 지상조업 하청업체인 이케이(EK)맨파워와도 대조적이다. 이케이맨파워는 6월부터 3개월간 시한부 무급휴직을 하되, 근무인력은 평소 30%로 줄여 직원들이 돌아가면서 일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해고자 8명이 소속된 아시아나케이오지부는 지난달 15일부터 서울 종로구 공평동 금호아시아나그룹 사옥 앞에서 농성을 하고 있다. 이 회사 지분의 100%를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이 소유하고 있고, 이곳의 이사장이 바로 그룹 총수인 박삼구 회장이므로 원청이 책임지고 문제를 해결하라는 것이다. 아시아나항공 쪽은 “현재 아시아나항공이 원청업체가 아닌 상황에서 케이오 쪽 경영 활동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정흥준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경제위기 상황에서 사용자가 무기한 무급휴직이라는 법에도 없는 말을 만들어가면서 편의적으로 법 제도를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원청 지원 때 하청의 고용유지를 강제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