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이틀 앞두고 정의연이 12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452차 수요시위 겸 제8차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세계연대집회 기자회견을 열었다.
‘회계부정’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회계·조직과 활동 방향을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꾸렸다.
정의연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이틀 앞둔 12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찰과 비전 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정의연의 회계관리 체계만이 아니라 조직·사업을 점검하고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 방향과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정의연의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대표를 지낸 정진성 서울대 명예교수가 위원장을 맡고, 강성현 성공회대 열림교양대학 교수, 김경민 와이엠시에이(YMCA) 사무총장, 김언경 민주언론시민연합 이사,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고미경 한국여성의 전화 대표 등 외부 인사와 이나영 이사장을 비롯한 정의연 관계자 등 13명의 위원이 참여한다. 위원회는 6월24일부터 지난 4일까지 네 차례 회의를 통해 정의연 회계관리 체계 개선, 개방적·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 효율적이고, 책임성 있는 조직으로의 개편 등을 우선 과제로 꼽았다.
아울러 정의연은 회계관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달 한달 동안 공익회계사네트워크 ‘맑은’에 용역을 의뢰해 검토보고서를 냈다. 보고서를 보면, 맑은은 “정의연의 2019년 회계·세무·공시 업무, 2020년 회계관리 수준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다만 정의연의 회계 관련 내부 통제 절차를 정비해야 한다고 짚었다. 또 정의연 안팎의 이해 관계자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강화해 회계 공개 자료의 정확성과 충분성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정의연의 인적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회계·세무·공시 업무의 효율성을 올려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정의연은 또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후원회 구조로 개선하며, 시민들의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시민, 후원회원, 연대단체와 연구가 등의 의견을 듣기 위해 전국을 돌며 ‘경청 간담회’를 열 계획이다. 정대협 시절부터 이어온 7대 과제(일본정부의 범죄인정, 진상규명, 공식사죄, 법적배상, 책임자처벌, 추모비와 사료관 건립, 교과서 기록과 역사교육)도 재확인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정의연 조직과 사업, 활동에 대한 점검과 진단을 통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의 역사와 의미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성찰과비전위원회를 꾸리게 됐다”며 “다시 어려운 길에 나선 저희들에게 부디 좋은 의견 주시고 함께해 주시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말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