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여성가족부는 ‘상장법인·공공기관 성별 임금격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성별임금격차는 38.1%를 기록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상장기업 성별 임금격차가 38.1%를 기록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덜 받는 연간 임금은 3584만원에 이른다. 전년에는 이 격차가 줄었지만, 지난해에는 더 벌어졌다. 여성가족부는 노동시장 성차별이 악화하는 상황이 드러났는데도 엉터리 원인 분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여성가족부는 ‘상장법인·공공기관 성별 임금격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민간영역의 성별 임금격차를 보면, 2021년 2364개 상장기업(전자공시시스템 사업보고서 기준)의 1인당 연간 평균 임금이 남성은 9413만원, 여성은 5829만원이었다. 성별임금격차는 38.1%를 기록했다. 2019년 36.7%, 2020년 35.9%로 줄어들던 격차는 2021년 38.1%로 전년 대비 2.2%포인트 커졌다. 여가부는 그 이유를 △제조업 △금융 및 보험업 △정보통신업 등의 분야에서 남성 임금이 여성보다 더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눈에 띄는 부분은 상장기업의 성별 ‘근속연수 격차’는 줄었는데 ‘임금 격차’는 오히려 늘었다는 점이다. 지난해 상장기업에 다니는 남성 평균 근속연수는 12년, 여성은 8.3년으로, 31.2%의 차이를 보였다. 2019~2021년 사이 가장 적은 격차다.
2021년 상장법인 성별 임금격차 현황. 자료 여성가족부
성별 임금격차의 주요한 원인으로 여성의 경력단절로 인한 근속연수 격차가 꼽힌다. 여가부 역시 지난해 성별 임금격차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성별 근속연수 격차와 성별 임금격차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근속연수 격차가 클수록 임금격차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밝혔다. 이러한 분석이 2021년 조사 결과와는 들어맞지 않았다. 근속연수 격차는 줄었는데, 임금격차는 늘었기 때문이다. 보다 정밀한 분석과 원인 파악이 요구되는 이유다.
이와 관련한 여가부의 분석이 부실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조린 여성가족부 여성인력개발과장은 전날 진행된 브리핑에서 “근속연수 격차와 임금격차에는 (여전히) 상관관계가 있다고 본다. 다만, 근속연수 외에 직급·근로형태 등 다양한 변이가 있어 차이가 빚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지난해 결과 발표 때 여가부는 성별 근속연수 격차와 성별 임금격차의 상관관계를 입증할 별도의 분석 자료를 제시했지만 올해는 “추후 제공”하겠다며 언론에 공개하지 않았다. 지난해 보도자료로 공개한 산업별 성별임금격차 자료 역시 올해는 요청하는 언론사에만 별도로 전달했다.
엉뚱한 산업을 성별 임금격차 확대의 원인으로 거론하기도 했다. 여가부는 올해 상장기업 평균 성별 임금격차 확대의 원인으로 △제조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에서 임금 격차가 커진 것을 꼽았다. 그러나 <한겨레>가 여가부에 따로 요청해 확인한 산업별 성별 임금격차 자료를 보면, 금융 및 보험업은 성별 임금격차가 2020년 41.4%에서 2021년 40%로 외려 줄었다. 평균 성별 임금격차 확대에 영향을 미친 업종으로 보기는 어려웠다. 이에 대해 여가부는 “임의로 업종 예시를 든다는 것을 잘못 들었다”고 해명했다. 성별 임금격차가 좁혀지던 추세에서 전환해 확대된 데에 어느 때보다 정밀한 원인 파악이 필요하지만 추가 분석은커녕 엉터리 정보를 제공한 셈이다. 여가부는 해당 보도자료를 5일 오전 배포하고, 6일 정오에야 임금격차 확대에 영향을 준 업종에서 “금융 및 보험업을 삭제”한다고 정정했다.
한편, 공공기관은 성별 임금격차와 근속연수 격차 모두 줄었다. 공공기관 전체 한해 남성평균임금은 7806만원, 여성평균임금은 5755만원으로 격차는 26.3%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1.5%포인트 감소했다. 근속연수는 남성 13.9년, 여성 9.2년으로 격차는 34.0%였다. 전년보다 2.1%포인트 줄었다.
최윤아 기자
a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