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소진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
게티이미지뱅크
나 자신을 못챙기고 생태가 온전치 못한데 남을 돕는다는 것이 가당키나 한 일인가 하는 생각에 자책감과 자괴감이 들어요.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4명 중 3명은 지난 1년간 직무에서 오는 만성 스트레스 반응인 ‘소진’(번아웃)을 경험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북여성정책개발원이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의뢰를 받아 19일 내놓은 ‘2022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소진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응답자의 74.4%(692명)가 지난 1년간 소진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소진’은 감정적이고, 대인관계 요구가 높은 직무에 장기간 종사할 때 나타나는 정서적·행동적 스트레스 반응으로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성취감 결여로 구성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7월20일부터 8월31일까지 전국 가정폭력상담소와 해바라기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등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672곳 종사자 9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34명)을 통해 이뤄졌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성매매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에서 지난 1년간 소진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8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근무경력 ‘3년 이상~5년 미만’(84.9%), 중간관리자(85.6%)에서 지난 1년간 소진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보고서는 이들의 소진이 열악한 업무 환경과 피해자 지원 과정에서 직·간접적 폭력에 노출되는 데 따른 대리 외상과 관련 있다고 짚었다. 실제로 심층면접에 참여한 종사자들은 “씨×, 미친×’ 등 욕설을 많이 듣는다”, “자살·자해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 “법률 지원 시 가해자와 법정에서 대면하는 상황, 가해자와 마주칠지 모른다는 극심한 두려움과 공포감이 있다”며 고통을 호소했다. 보고서는 “(종사자들이) 이러한 직·간접적 폭력 경험으로 피로감, 두통, 긴장, 불면 등 신체적 증상과 더불어 우울, 불안 등을 경험했다고 했고, 심각한 경우 자살사고로 이어지기도 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소진 경험은 이직 의도를 높이고 서비스 질 저하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결국 종사자들의 소진이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앞서 여성가족부는 지난 1월 ‘제3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하며 ‘5대 폭력’(권력형성범죄·디지털성범죄·가정폭력·스토킹·교제폭력) 피해자 통합 지원체계를 강화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의 역할이 강화·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종사자들의 소진에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 △종사자 소진예방프로그램 시스템 구축 △휴게시간 및 휴게공간 제공 △업무량 조정 및 인력 보강 △급여체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ㄱ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