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여성

[기억합니다] 이순덕 할머니와 ‘한겨레’가 함께 한 순간들

등록 2017-04-05 16:29수정 2017-04-07 09:41

이순덕, 세 글자를 가만히 불러봅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가운데 최고령이었던 이 할머니는 4월4일 오전 7시30분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올해로 100살. 추운 겨울 지지 않는 동백을 닮았다 해서 평소 ‘위안부’ 활동가들은 ‘동백꽃 할머니’로 불렀다고 합니다.
그 결기와 굳건한 정신에 새삼 고개가 숙여집니다.

<한겨레>는 이순덕 할머니의 영면을 맞아 그동안 이 할머니와 함께 한 순간들을 모았습니다.
때론 기사로, 때론 사진으로 <한겨레>와 함께 해주신 이 할머니께 마지막으로 전하고픈 선물입니다.
삶의 끝까지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해
싸움을 멈추지 않았던 이 할머니의 정신도 계속 이어가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
일본 법원으로부터 배상금 지급 판결을 끌어내다

1998년 4월28일치 <한겨레> 1면에 이순덕 할머니의 모습이 큼지막이 담겼습니다. 사진 오른쪽 체구가 아담한 분입니다. 전날인 27일 일본 야마구치현 지방법원 시모노세키지부는 이 할머니 등 3명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일본국은 각각 30만엔씩 총 90만엔의 위자료를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1992년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한 지 5년 5개월 만이었습니다.

당시 <한겨레>는 이 1심 판결을 두고 “‘위안부’ 배상 문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고 승리의 의미를 짚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일본 최고재판소가 기각 판결을 내리면서 이 할머니를 포함한 ‘위안부’ 피해자들은 끝내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와 배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_________________
봄-여름-가을-겨울-다시 봄…끝없는 싸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가 열린 2007년 3월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들머리에서 당시 나이 90살이던 이순덕 할머니가 대사관 옥상에 펄럭이는 일장기를 바라보고 있다. 이날 집회에서 할머니들은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망언을 규탄하고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을 촉구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가 열린 2007년 3월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들머리에서 당시 나이 90살이던 이순덕 할머니가 대사관 옥상에 펄럭이는 일장기를 바라보고 있다. 이날 집회에서 할머니들은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망언을 규탄하고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을 촉구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2007년 3월1일 일본 아베 총리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한 ‘고노담화’(1993년)에 대한 견해를 묻는 기자들의 물음에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10년이 지난 지금도 아베와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은 크게 변한 게 없습니다.

아베의 일방적 주장이 전해지고 얼마 뒤인 2007년 3월14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정기 수요집회에 이순덕 할머니가 있었습니다. 그의 나이 90살 때입니다. 아베 ‘망언’을 규탄하기 위해 이 할머니는 3월 찬바람을 맞으며 일본대사관 앞을 지켰습니다.


2007년 6월27일 제767차 정기 수요집회에 참석한 이순덕 할머니.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2007년 6월27일 제767차 정기 수요집회에 참석한 이순덕 할머니.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2007년 6월27일 제767차 정기 수요집회에 참석한 이순덕 할머니의 모습입니다. 2007년 6월26일(현지 시각)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는 ‘찬성 39, 반대 2’라는 압도적 다수의 찬성으로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해 일 정부가 공식 사과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사진을 찍은 김봉규 기자는 “이날 따라 할머니들의 표정이 상기돼 있었다”고 썼습니다.


2007년 6월27일 제767차 정기 수요집회에 참석한 이순덕 할머니에게 한 여성 활동가가 다가와 악수를 청하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2007년 6월27일 제767차 정기 수요집회에 참석한 이순덕 할머니에게 한 여성 활동가가 다가와 악수를 청하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이날 한 여성 활동가는 일본의 사죄와 반성을 요구하는 펼침막에 손을 올리고 앉은 이 할머니에게 다가와 “할머니 축하합니다”라며 악수를 청했습니다. 한국뿐 아니라 대만·네덜란드·인도네시아 등 10여개국에서 결의안 통과를 기념해 인권·시민단체들이 기념 집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2007년 7월31일 오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의 발언을 듣던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 이순덕 할머니(맨 오른쪽)가 환히 웃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2007년 7월31일 오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의 발언을 듣던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 이순덕 할머니(맨 오른쪽)가 환히 웃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7월31일(현지시각 30일)에는 미 하원 본회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채택됐습니다. 제3국인 일본에 구속력은 없었지만 결의안을 발의했던 일본계 3세 마이크 혼다(민주·캘리포니아) 의원은 “일본 정치인들에게 미래에 대한 책임을 강조한 것”이라고 역설했습니다. 이날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한 이 할머니 얼굴에는 미소가 가득했습니다.


2009년 3월4일 제855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가 4일 낮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리고 있다. 왼쪽에서 두번째가 이순덕 할머니.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2009년 3월4일 제855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가 4일 낮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리고 있다. 왼쪽에서 두번째가 이순덕 할머니.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2010년 8월11일 낮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930차 수요집회에서 이순덕 할머니가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10년은 한일 강제병합 100년이 되는 해였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2010년 8월11일 낮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930차 수요집회에서 이순덕 할머니가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10년은 한일 강제병합 100년이 되는 해였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봄이 지나 여름, 가을, 겨울이 몇 번 지났지만 이 할머니는 수요집회를 지켰습니다. 2009년 3월4일 제855차 정기 수요집회에도, 2010년 8월11일 제930차 수요집회에도 이 할머니가 있었습니다. ‘동백꽃 할머니’라는 애칭답게, 꼿꼿하기 그지없었습니다.


_____________
가슴에 단 카네이션 한 송이

2010년 5월4일 오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의 기지촌 할머니 쉼터인 햇살사회복지회(대표 우순덕)에서 성매매 피해 청소년을 위한 학교인 ‘늘푸른자립학교’의 학생한테서 화분을 선물로 받았다. 길원옥·김복동·이순덕(왼쪽부터) 할머니는 이날 쉼터 할머니들과 즐거운 시간을 함께 보냈다.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2010년 5월4일 오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의 기지촌 할머니 쉼터인 햇살사회복지회(대표 우순덕)에서 성매매 피해 청소년을 위한 학교인 ‘늘푸른자립학교’의 학생한테서 화분을 선물로 받았다. 길원옥·김복동·이순덕(왼쪽부터) 할머니는 이날 쉼터 할머니들과 즐거운 시간을 함께 보냈다.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위안부’ 생활은 험난했다. 머리, 가슴, 둔부 등에 구두 발길질을 당하고, 칼에 의한 상흔도 생겼다. 그 후유증으로 눈이 잘 안 보이게 되었고, 정신이 몽롱한 부실한 몸이 되었다. 위안소에서의 만행은 이순덕님의 몸과 영혼까지 갉아먹었다.”(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공개한 이순덕 할머니 약전 중에서)

이 할머니에게는 자식이 없었습니다. 홀로 살던 이 할머니는 서울 마포구에 있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쉼터인 ‘평화의우리집’에서 살다, 2014년 6월 노환이 심해지면서 인근 요양병원에 입원해 지냈습니다.

그런 이 할머니에게 카네이션을 달아준 아이들이 있었습니다. 2010년 5월4일, 성매매 피해 청소년들이 이 할머니를 비롯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찾아온 겁니다. 노란 카네이션은 아이들이 직접 만들었습니다. 아이들 덕분일까요. 오랜만에 이 할머니 얼굴에 웃음꽃이 피었습니다.


2010년 5월4일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이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에 있는 기지촌 할머니 쉼터인 햇살사회복지회를 방문해 즐거운 한때를 보내고 있다. 카메라 액정화면을 바라보며 환하게 웃는 이순덕 할머니(오른쪽부터)와 김복동·길원옥 할머니.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2010년 5월4일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이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에 있는 기지촌 할머니 쉼터인 햇살사회복지회를 방문해 즐거운 한때를 보내고 있다. 카메라 액정화면을 바라보며 환하게 웃는 이순덕 할머니(오른쪽부터)와 김복동·길원옥 할머니.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_____________
‘평화의 우리집’ 짝꿍만 남기고…

2011년 3월1일 오전 이순덕·길원옥·김복동(왼쪽부터) 할머니가 서울 충정로 정대협 쉼터에서 손학규 당시 민주당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2011년 3월1일 오전 이순덕·길원옥·김복동(왼쪽부터) 할머니가 서울 충정로 정대협 쉼터에서 손학규 당시 민주당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2011년 3월1일 오전 이순덕 할머니가 서울 충정로 정대협 쉼터에서 손학규 당시 민주당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2011년 3월1일 오전 이순덕 할머니가 서울 충정로 정대협 쉼터에서 손학규 당시 민주당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이 할머니의 ‘짝꿍’은 길원옥(89), 김복동(91) 할머니입니다. 세 분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쉼터인 ‘평화의우리집’에서 함께 살았습니다. ‘평화의우리집’은 2003년 12월 서울 서대문구에 둥지를 틀었다가 2012년 10월22일 마포구 연남동으로 이사했습니다. 2011년 3월1일 당시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서대문구 ‘우리집’에 들렀을 때만 해도 이 할머니는 짝꿍들과 함께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습니다.


2012년 10월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연남동 쉼터 거실에서 길원옥 할머니(왼쪽)와 김복동 할머니가 이사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2012년 10월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연남동 쉼터 거실에서 길원옥 할머니(왼쪽)와 김복동 할머니가 이사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하지만 2012년 10월22일 쉼터 이삿날, 이 할머니는 없었습니다. 당시 <한겨레> 최우리 기자는 기사(클릭)에서 “길 할머니는 병원에서 요양 중인 이순덕 할머니의 요강과, 길 할머니가 챙겨 달라고 여러 번 부탁한 된장 담은 항아리와 물고기 담은 통까지 하나씩 챙겨오자 그제야 미소를 되찾았다”고 썼습니다. 이 할머니가 95살 때 일입니다. 더 이상 수요집회에 나온 이 할머니의 모습도 찾을 수 없습니다.


_____________
할머니가 전한 마지막 소식

2016년 8월31일치 <한겨레>.
2016년 8월31일치 <한겨레>.
이 할머니가 <한겨레>와 세상에 마지막으로 알린 소식은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한다는 것이었습니다. “2015년 12월28일 한국과 일본 정부가 체결한 ‘위안부’ 합의안은 피해자들의 동의가 없었고 이로 인해 피해자들에게 정신적·물질적 손해를 끼쳤다”는 취지입니다. 이 할머니와 ‘짝꿍’ 길원옥·김복동 할머니, 박옥선·이용수 할머니 등 모두 12명이 소송에 참여했습니다.

“죄 없는 죄인으로 살아온 우리에게 일본은 사실을 인정하고 사죄하여 후유증을 보상하라”던 이 할머니는 이제 세상에 없습니다. 남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38분입니다.

글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 그래픽 강민진 디자이너 rkdalswls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혐오와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지금, 한겨레가 필요합니다.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속보] “윤석열, 일체 조사 거부”…공수처, 강제구인 무산 1.

[속보] “윤석열, 일체 조사 거부”…공수처, 강제구인 무산

공수처 “대통령실·관저 압수수색 진행 중” 2.

공수처 “대통령실·관저 압수수색 진행 중”

권성동 “문형배, 이재명 모친상 조문”…헌재 “명백히 거짓” 3.

권성동 “문형배, 이재명 모친상 조문”…헌재 “명백히 거짓”

“명태균은 다리 피고름 맺혀도”…명씨 변호사, 윤석열 병원행 분개 4.

“명태균은 다리 피고름 맺혀도”…명씨 변호사, 윤석열 병원행 분개

‘서부지법 난동’ 58명 중 56명 구속…“도주 우려” 5.

‘서부지법 난동’ 58명 중 56명 구속…“도주 우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