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초롱초롱 우리 아이 두뇌, 밥상이 키워요

등록 2009-06-08 19:23수정 2009-06-09 15:47

뇌에 신선한 산소를 공급하는 재료들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밥상을 차려보자. 사진 왼쪽부터 호두강정, 브로콜리전, 시금치계란말이.
뇌에 신선한 산소를 공급하는 재료들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밥상을 차려보자. 사진 왼쪽부터 호두강정, 브로콜리전, 시금치계란말이.
[건강2.0]
화학첨가물, 기억·집중력의 ‘적’
항산화식품 많이 먹으면 뇌 보호
중학교에 다니는 희정(14)이는 아침엔 밥맛이 없어 주로 국에 밥을 말아 먹고 학교에 간다. 점심은 학교 급식으로 먹는데 채소나 나물은 손도 대지 않는다. 군것질로 과자는 꼭 사먹는다. 저녁은 햄버거나 분식점에서 대충 때우고 학원에서 밤 10시까지 공부하고 집에 돌아온다.

영양학자와 의사, 푸드테라피스트들은 음식과 잠은 아이의 두뇌 건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고 말한다. 희정이와 같은 식생활은 두뇌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패스트푸드는 ‘노’ 패스트푸드는 아이의 두뇌 발달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푸드테라피스트 김연수씨는 “책을 끝까지 읽어내지 못하거나 어떤 한 가지 일에 몰두하지 못하는 아이들의 식단을 보면, 자연식보다는 정크푸드를 좋아한다”고 말한다. 미국의 임상 영양학자인 캐럴 사이먼타치는 그의 저서 <사람을 미치게 하는 음식들>에서, 글루탐산나트륨(MSG)을 많이 먹은 아이들은 자폐증, 정신분열증, 발작, 뇌성마비 증상에 노출되기 쉽다고 경고한다. 글루탐산나트륨은 음식 맛을 돋우기 위해 첨가하는 화학물질로 햄, 소시지, 과자, 라면, 냉동만두, 레토르트 카레 등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에 많이 들어 있다.

햄버거 같은 패스트푸드가 두뇌에 좋지 않은 이유는 바로 글루탐산나트륨 때문이다. 과도한 글루탐산나트륨 섭취는 우리 뇌의 신경세포를 이루고 있는 수상돌기를 야위게 만들어 신경세포 간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한다. 또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수치를 낮춰 기억력과 집중력을 저하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 생선·견과류·채소 ‘예스’ 두뇌 활동에 좋은 음식은 뭘까?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3가 포함된 식품, 뇌세포에서 발생하는 유해산소를 없애주는 항산화 식품 등이 있다.

뇌의 60%는 지방으로 구성돼 있다. 그중 많은 부분이 도코사헥사엔산(DHA)이다. 오메가3는 우리 몸속에서 디에이치에이와 에이코사펜타엔산(EPA)으로 전환되는데, 디에이치에이가 포함된 음식은 뇌 발달에 도움을 준다. 이명숙 성신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미국 국립보건원의 노먼 세일럼 박사 연구에서 임신한 쥐에 DHA를 제한했더니 태어난 쥐의 뇌 DHA가 정상 쥐보다 엄청 적었고, DHA가 적은 쥐는 행동 발달이 느리고 기억력이 감퇴했다”며 “인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니지만, 그만큼 DHA가 뇌 발달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메가3 지방산은 고등어나 참치 같은 등푸른 생선이나 들깨, 참깨, 해바라기씨, 호두 같은 견과류에 많다.

나흥식 고려대 의대 교수(생리학)는 항산화 기능이 있는 음식들이 뇌 기능에 도움을 준다고 조언한다. 나 교수는 “체내대사 과정에서 유해산소가 생기는데 이 산소가 뇌세포를 공격해 뇌 건강을 손상시킨다”며 “유해산소를 없애주는 항산화 기능이 있는 식품들을 자주 섭취하면 뇌의 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항산화 물질로는 비타민A, C, E와 베타카로틴, 셀레늄이 있는데, 신선한 채소와 과일, 견과류 등에 많다.


■ 충분한 수면이 ‘보약’ 적절한 수면은 기억력을 높인다.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 때문이다. 멜라토닌은 뇌 속의 송과체 부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나흥식 교수는 “아이가 잠자는 동안 멜라토닌은 아이 몸속 구석구석을 다니며 유해산소를 없애주고 면역력을 강화시킨다”며 “밤늦도록 아이를 공부시키는 것은 아이의 두뇌 건강에 좋지 않다”고 설명했다. 멜라토닌이 분비되기 시작하는 시간은 보통 밤 9시부터 11시 사이고, 새벽 2시께 최고조에 이른다. 따라서 아이들은 적어도 밤 12시 전에 잠자리에 들도록 하는 게 두뇌 건강에 좋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사진 코코넛 <내 아이를 위한 음식 테라피>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ESC] 사랑·섹스…‘초딩’이라고 무시하지 마세요 1.

[ESC] 사랑·섹스…‘초딩’이라고 무시하지 마세요

[ESC] 이건 사랑의 묘약···건강한 러브젤 고르는 법 2.

[ESC] 이건 사랑의 묘약···건강한 러브젤 고르는 법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3.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ESC] 창과 문, 작은 디테일의 멋 4.

[ESC] 창과 문, 작은 디테일의 멋

[ESC] 소송당한 당신, 이것만 알면 걱정 끝! 5.

[ESC] 소송당한 당신, 이것만 알면 걱정 끝!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