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비극의 땅에 갇힌 난민 청년, 태권도가 그를 세상과 이어줬다

등록 2023-06-01 17:03수정 2023-06-02 02:33

아즈락 난민캠프 출신 첫 세계선수권
남자 63㎏급 에흐야 알고타니 인터뷰
난민 팀 소속 태권도 선수 에흐야 알고타니(오른쪽)가 1일(현지시각) 아제르바이잔 바쿠의 크리스털홀에서 열린 2023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남자 63㎏급 멕시코의 카를로스 나바로와 64강 경기 중 발차기 공격을 하고 있다.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난민 팀 소속 태권도 선수 에흐야 알고타니(오른쪽)가 1일(현지시각) 아제르바이잔 바쿠의 크리스털홀에서 열린 2023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남자 63㎏급 멕시코의 카를로스 나바로와 64강 경기 중 발차기 공격을 하고 있다.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전달이 잘못된 모양인지 출발이 늦었다. 설상가상 교통 체증이 겹쳤다. 에흐야 알고타니(20)는 경기 시작 30분 전에야 간신히 경기장에 도착했다. 몸을 풀고 환복하기에도 빠듯한 시간이다. 부랴부랴 코트에 오른 그의 상대는 세계태권도연맹(WT) 남자 63㎏급 랭킹 16위의 카를로스 나바로(29·멕시코). 17살 때부터 세계 무대에서 성인 대회를 뛰어온 베테랑이었다. 알고타니는 1라운드에만 네 번의 다운을 기록하면서 한 점도 내지 못했다. 0-12. 그러나 이대로 물러나기에는, 너무 소중한 경기였다.

2라운드. 반격이 시작됐다. 12초 만에 알고타니는 달려드는 상대 몸통에 왼발 카운터를 적중, 2점을 선취했다. 장외와 다운, 몸통 공격으로 다시 4점을 내줬지만, 50초께 왼발을 휘둘러 이번에는 머리(3점)를 때려냈다. 이 공격은 그의 마지막 득점이 됐다. 분전 끝에 알고타니는 6-12로 2라운드도 내줬다. 라운드 점수 0-2 패. 유니폼에 국가 이니셜 대신 태권도박애재단(THF)을 새기고 뛴 난민 팀 선수 알고타니의 생애 첫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데뷔전은 6득점으로 마무리됐다.

알고타니는 아즈락 난민 캠프 출신 태권도 선수다. 요르단 북동부 시리아와 접경지대에서 90㎞ 떨어진 곳에 자리한 아즈락 캠프에는 약 4만명의 난민(2022년 10월 기준)이 살고 있다. 대부분 시리아 출신이다. 알고타니 역시 8살 때 부모와 함께 이곳으로 넘어왔다. 시리아 내전이 발발한 해다. 멀쩡한 집을 놔두고 왜 ‘이사’를 떠나는지, 그때는 이해할 수 없었다. 초기에는 텐트에서 지냈고 지금은 부모님과 형제 여섯(남자 4명, 여자 2명)이 캐러밴 두 대에 함께 산다.

경기를 마친 뒤 알고타니(오른쪽)를 격려하는 나바로.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경기를 마친 뒤 알고타니(오른쪽)를 격려하는 나바로.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갑작스럽게 찾아온 변화의 폭이 너무 컸다. 지난 30일(현지시각) 아제르바이잔 바쿠의 크리스털홀에서 만난 알고타니는 “‘언제쯤 이 삶을 벗어날 수 있을까’ 매일 밤 혼자 되물었다”라고 그 시절을 회상했다. 응답은 없었다. 대신 그는 스스로 답을 찾아냈다. 태권도였다. 2017년 친구를 따라 태권도 도장에 따라갔다가 하얀 도복과 날렵한 동선으로 이루어진 무예의 세계에 빠졌다. 덜컥 ‘태권 키즈’가 된 알고타니는 입문 8개월 만에 검은 띠를 따냈다. 아즈락 캠프의 두번째 유단자였다.

그의 이야기는 더 나은 삶을 위해 분투해온 어느 난민 소년의 투쟁담인 동시에 세계태권도연맹의 난민 지원 정책이 거둔 결실이기도 하다. 조정원 연맹 총재의 아이디어로 2016년 출범한 태권도박애재단은 같은 해 4월 아즈락 캠프에서 태권도 교육을 시작했다. 임시 공동 건물에서 30명 남짓한 청소년과 함께 출발한 사업은 말끔한 태권도센터(2018년 완공)가 들어선 지금, 100여명의 수련생이 북적이는 명문 도장이 됐다. 그간 아즈락 캠프에서 배출된 유단자는 70명에 이른다.

알고타니는 “태권도는 나와 친구들, 다른 아이들의 삶을 크게 바꿨다”라면서 “나는 태권도를 통해 세상과 만났다”라고 말했다. 그는 아즈락 캠프 출신으로는 처음 세계선수권대회를 치렀다. 12년 전에는 영문 모를 불안과 겨뤄야 했지만, 이제는 세계의 강호를 앞에 두고 당당히 자신의 한계에 맞선다. 이제 그에게는 명확한 꿈이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난민 장학생이기도 한 알고타니는 “파리로 가는 기회를 잡기 위해 할 수 있는 전부를 쏟을 것”이라고 했다.

지난달 30일 한국 취재진과 인터뷰를 마치고 경기장에서 기념 촬영 중인 알고타니.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지난달 30일 한국 취재진과 인터뷰를 마치고 경기장에서 기념 촬영 중인 알고타니.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첫번째 국경을 넘었을 때는 피란길이었지만 두 번째 국경을 넘는 길은 출정식이었다. 첫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보여줬듯 그는 1라운드보다 2라운드에 강한 선수다. 태권도는 알고타니의 한계를 바꿨고 알고타니는 아즈락 캠프 후배들이 꾸는 꿈의 한계를 바꿀 것이다. 그의 세 번째 라운드를 기다린다.

바쿠/박강수 기자 turn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손흥민, 이번엔 우승컵 들까…리버풀과 카라바오컵 결승행 격돌 1.

손흥민, 이번엔 우승컵 들까…리버풀과 카라바오컵 결승행 격돌

빙판 위 ‘람보르길리’ 김길리 “중국 견제? 더 빨리 달리면 되죠” 2.

빙판 위 ‘람보르길리’ 김길리 “중국 견제? 더 빨리 달리면 되죠”

‘쇼트트랙 500m’ 김태성 “어렵게 찾아온 행운…최선 다할 것” 3.

‘쇼트트랙 500m’ 김태성 “어렵게 찾아온 행운…최선 다할 것”

김경애-성지훈 컬링 믹스더블 조 3위…아시안게임 4강 진출권 도전 4.

김경애-성지훈 컬링 믹스더블 조 3위…아시안게임 4강 진출권 도전

‘농구황제’ 조던, 17년만에 결혼 파경 5.

‘농구황제’ 조던, 17년만에 결혼 파경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