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개최국의 손익계산서

등록 2012-06-27 20:10수정 2012-07-16 16:24

올림픽 창
평화와 문화의 축제인 올림픽도 돈이 없으면 안 된다. 7월28일(한국시각) 개막하는 2012 런던올림픽도 예외 없다. 애초 35억달러로 예상된 개최 비용은 딱 4배가 뛴 140억달러에 이른다. 영국의 <비비시>(BBC)는 “이 돈은 전세계 인구 1인당 2달러에 해당한다”고 썼다. 1달러 미만으로 하루 생계를 이어가는 극빈층이 존재하는 지구촌 현실과 대비한 것 같다.

개최 도시는 올림픽 개최를 통한 브랜드 효과를 강조한다. 도로와 경기장 등 기반 시설을 확충하고 도시를 정비하게 된다. 그러나 17일 경기를 위한 투자는 배보다 배꼽이 클 수가 있다.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 조직위원회는 당시 자국 스폰서로부터 700만달러를 지원받았지만, 나머지 15억달러의 경비는 빚을 냈다. 이 돈은 30년이 지난 2005년께 모두 갚았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1980년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위원장 등장부터 상업주의로 돌아선다. 톱(TOP) 프로그램은 삼성 등 국제적인 기업 11곳으로부터 스폰서료를 받는다. 2005~2008년 스폰서 금액은 8억6600만달러였다. 훨씬 큰 돈은 방송 중계권에서 온다. 2010~2012년 동·하계 올림픽 총 중계권료는 39억달러를 넘었다. 이 돈은 올림픽 운동과 대회 개최 지원에 쓰인다. 하지만 개최도시 부담액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1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의 예상경비는 167억달러다. 그때 가면 더 뛸 것이다.

그런데도 올림픽은 인기상품이다. 내년에 2020 올림픽 유치도시를 선정하는데 구제금융을 받아야 하는 스페인 마드리드도 움직이고 있다. 그런데 올림픽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고 한다. 앞으로 올림픽 개최를 노리는 도시는 더 정교한 논리를 만들어야 할 것 같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가수 조관우, 전 매니저가 휘두른 흉기에 목 찔려
봉하마을 묘역, 세계 최대 건축잔치 초청받았다
갓 입대한 훈련병 예산 모자라 운동화 없이 생활
마돈나, 프랑스 극우당 대표 어떻게 조롱했길래
[화보] 보령머드축제 ‘머드탕’으로 풍덩!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13년 직장 포기 두 달 만에 챔피언 된 김태호 “당구 매일 치고 싶다” 1.

13년 직장 포기 두 달 만에 챔피언 된 김태호 “당구 매일 치고 싶다”

NBA 돈치치 떠나보낸 댈러스팬 ‘농구장 앞 장례식’ 2.

NBA 돈치치 떠나보낸 댈러스팬 ‘농구장 앞 장례식’

전지희, 신유빈과 대결 뒤 조촐한 은퇴식…“마지막 경기 특별했다” 3.

전지희, 신유빈과 대결 뒤 조촐한 은퇴식…“마지막 경기 특별했다”

한국기원, 커제의 ‘사석 논란’ 반칙패 규정 폐지…“세계대회 정상적 개최” 4.

한국기원, 커제의 ‘사석 논란’ 반칙패 규정 폐지…“세계대회 정상적 개최”

최정의 끝내기 뒷심…신민준 꺾고 맥심배 8강 진출 5.

최정의 끝내기 뒷심…신민준 꺾고 맥심배 8강 진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